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Journal Archiv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67 , No. 4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67, No. 4, pp. 89-101
Abbreviation: KSC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Jun 2017
Received 04 Apr 2017 Revised 11 Jun 2017 Accepted 16 Jun 2017
DOI: https://doi.org/10.7233/jksc.2017.67.4.089

한국적 유니폼의 세계화를 위한 활용 방안에 대한 연구
김다민 ; 소황옥
중앙대학교 디자인학과 박사과정
중앙대학교 예술대학 패션디자인 전공 교수

A Study on the Application Methods for Globalization of Korean Uniform
Da Min Kim ; Hwang Oak Soh
Doctoral course, Dept. of Design, Chung-Ang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Fashion Design, Chung-A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Hwang Oak Soh, e-mail: oaksoh@cau.ac.kr

Funding Information ▼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pplication methods for the globalization of Korean Uniforms. This study examined the Korean uniforms currently at home and abroad, and focused on the development and usage of uniforms that promoted the Korean image. Study results have shown that a variety of Korean uniform design have been developed through contests, design research. Even though these designs are being sold, its use has been limited. The most popular uniforms worn in Korean restaurants do not reflect the latest fashion trend. In order to utilize and globalize Korean uniform design, following steps need to be taken: first, the communication between uniform designers, researchers developing the Korean uniform design and uniform users needs to exist. Second, Korean uniforms should be utilized in more diverse and effective areas to better promote the Korean image. Third, a platform that has access to a design database needs to be produced to utilize the already developed designs and pay royalties.


Keywords: globalization, Hanbok, Korean image, Korean uniform, uniform
키워드: 세계화, 한복, 한국적 이미지, 한국적 유니폼, 유니폼

Ⅰ. 서론
1. 연구 목적

한복을 세계화하기 위해서는 한국에 방문한 외국인들이 가장 쉽게 자주 접할 수 있는 부분에서부터 한복이 드러나야 할 것이다. 때문에 많은 선행연구에서 외국인들이 한국에 대해 가장 먼저 접하게 되는 항공사 승무원 유니폼을 한국적인 이미지로 디자인함으로써 한국의 이미지를 세계에 알리고자 하였다. 그 중에서도 Kang(2008)은 항공승무원의 한복을 응용한 유니폼 착용은 국내 및 해외 승객들에게 한국 전통문화에 대한 매력을 느끼게 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회가 될 것이며, 현대인들이 가지고 있는 한복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인 방향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Min(2011)은 승무원의 유니폼은 서비스 과정에서 가장 먼저 승객들에게 보이는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에 각 항공사를 대표하는 이미지일 뿐만 아니라 국가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며, 각 나라의 고유한 문화를 반영한 승무원의 유니폼은 전통문화를 발전시킬 수 있고, 세계에 그 문화를 전파할 수 있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고 하였다. Jung, Park, & Min(2012) 또한 항공사 승무원의 이미지는 우리나라를 세계에 널리 알릴 수 있는 한국의 첫 인상이라 볼 수 있기에 국가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는 중요한 요인이며 때문에 우리민족 고유의 전통이미지가 항공사 유니폼에서 상징적으로 나타나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와 같이 여러 연구자들은 항공사 유니폼을 한국의 이미지를 세계에 널리 알릴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여겼으며, 항공사 유니폼뿐만 아니라 Kim(2008) 또한 한국의 국가이미지를 효과적으로 알리고자 국립중앙박물관의 유니폼 디자인을 제시한 바 있다.

이처럼 한국의 이미지를 세계에 알리고 한복을 세계화하기 위해서는 한국적 유니폼을 통해 한복을 보다 친근하고 가깝게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는 한국적 유니폼의 디자인 현황 조사 및 디자인 개발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이에 현재 한국적 유니폼이 사용되고 있는 현황을 파악하고 한국적 유니폼 디자인의 세계화 방안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한국적 이미지를 홍보할 수 있는 유니폼을 중심으로 현재 국내와 해외에서 한국적 유니폼의 디자인 개발 현황과, 실제 활용되고 있는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적 유니폼의 발전 가능한 부분과 현재 활용되고 있는 상황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한국적 유니폼의 세계화를 위한 활용 방안 등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 연구 문제와 방법

현재 다양한 연구와 공모전, 프로젝트 등을 통해 유니폼에 대한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다만,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유니폼이 한국적 이미지를 세계에 널리 알릴 효과적인 수단으로서 활용되려면 이러한 연구와 개발이 단지 개발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실제 현장에도 영향을 미쳐서 개발과 활용이 상호 보완하며 영향을 주고받아야 할 것이다.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적 유니폼의 디자인 개발 현황과 실제 활용되고 있는 현황을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 개발된 한국적 유니폼의 유형과 실제 현장에서 활용되는 유니폼의 유형이 일치하는가. 둘째, 디자인 개발된 한국적 유니폼에 나타난 한국적 요소와 실제 활용되는 한국적 유니폼에 나타난 한국적 요소가 일치하는가. 셋째, 디자인 개발된 한국적 유니폼과 실제 활용되는 한국적 유니폼의 비교 분석에 따른 한국적 유니폼 활용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위의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한 연구 방법으로는 먼저 참고문헌과 선행연구를 통해 한국적 이미지와 유니폼에 대해 정의하고 유니폼의 유형을 정리한다. 그리고 공모전과 연구논문, 관련 프로젝트, 온·오프라인 쇼핑몰, 호텔, 식당, 항공사 등을 대상으로 한 사례연구를 통해 한국적 유니폼의 디자인 개발 현황과 실제 활용 현황을 조사한다. 또한 이들 각 유니폼의 유형과 디자인 요소의 빈도수와 비율을 분석하여 한국적 유니폼 활용의 문제점을 밝히고, 한복을 세계화하기 위한 한국적 유니폼의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디자인 개발된 한국적 유니폼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관련 공모전 출품작 중에 입상 이상의 작품들과 관련 연구논문에서 디자인 제시 및 개발된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각 공모전 사이트에 업로드 된 이미지 자료와 입상작 패션쇼 영상에서 작품의 전신 이미지를 추출하여 분석하였으며 논문을 통해 개발된 디자인은 개별 아이템이 아닌 풀 착장을 하나의 작품으로 카운트하였다. 그리고 공모전과 논문 외에도 기타 관련 프로젝트 등을 통해 디자인 개발된 작품도 분석 대상에 포함하여 총 102작품을 분석하였다.

실제 활용되고 있는 한국적 유니폼의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국내 온·오프라인에서 판매되고 있는 한국적 유니폼과 실제 사용된 한국적 유니폼의 사례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국내 사이트에서 판매되고 있는 한국적 유니폼 사례는 검색엔진에 ‘유니폼’을 검색어로 하여 검색되는 유니폼 판매 사이트 중에 메디컬 유니폼 전문 업체 등 한국적 유니폼이 전혀 없는 사이트를 제외한 상위 5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한 자료와, (사)한국유니폼협회에 올라와 있는 오프라인 유니폼 업체 중에 한국적 유니폼이 전혀 없는 업체 외의 서울시 소재 업체 5곳을 임의로 선정하여 매장에서 제시하는 카탈로그의 유니폼 이미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실제 사용된 한국적 유니폼은 국제 행사에서 사용되었던 유니폼 이미지를 관련 기사 및 사이트를 통해 수집하였고, 그 외에 호텔, 항공사, 관광명소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니폼의 이미지는 인터넷 및 현장조사를 통해 수집하여 총 114개의 유니폼을 분석하였다.


Ⅱ. 이론적 배경
1. 한국적 이미지

한국적 이미지는 한국이라는 나라로부터 받는 느낌, 즉 심상, 영상, 인상을 뜻하는 것으로 그 범위와 의미가 매우 광범위하고 포괄적이다.(Eum & Yoo,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식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한국적 이미지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았다. Cha & Na(2014)는 한국적 이미지는 한국만의 고유역사 속에 묻어나는 여러 가지 선이나 색, 전통 사물들을 포함한 문화적, 전통적인 부분이 중심이 된다고 하였고, Hwang & Ha(2010)는 이러한 한국적 이미지는 색, 소재, 문양 등을 통해 그 특징을 살펴볼 수 있다고 하였다. Lee & Lee(2001)는 한국적 이미지에 대한 선행연구와 국가적 행사, 기업, 관광 특산품에서 활용한 한국적 이미지, 패션에서 활용한 한국적 이미지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한국적 이미지란 전통적인 문화유산으로써 한복의 소재, 형태, 색깔, 한글, 전통문양 등이 혼재되어 있는 국가 이미지라고 정의하였다. 그리고 Lee(2000)는 한국적 이미지를 현대 패션에 나타내기 위해서는 한국인의 감정과 정서 속에 녹아있는 내재적 요소들을 끌어내어 한국적 조형감각으로 현대 복식에 한국적 이미지를 반영해야 한다고 하였다.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복식에서의 한국적 이미지는 어느 한 단어나 문장으로 정의할 수 없으나, 한국의 역사 속에서 함께 존재해 온, 한복에 자연스럽게 내재되어 있는 한국의 문화와 정서를 한국적 이미지라고 할 수 있으며 이는 대체적으로 복식을 구성하고 있는 요소 즉, 형태, 소재, 색채, 문양 등을 통해 그 특징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니폼 디자인에 나타나는 한국적 이미지를 한복의 형태, 소재, 색채, 문양과 기타 요소들로 분류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여기서 한복의 형태란 한복의 외형을 구성하는 깃, 고름, 동정, 배래선, 치마 등과 같은 요소를 말하며, 한복의 소재는 모시, 삼베, 사, 단, 주와 같은 전통소재를 기준으로 한다. 색채는 오방색, 백의 등 한국의 전통적인 정서가 드러나는 색채를 중심으로 하였으며 여기에는 조각보, 색동과 같은 한국 특유의 배색도 포함하였다. 문양은 동물문, 식물문, 문자문, 기하문과 같은 전통문양뿐만 아니라 한국적인 아이템을 패턴화하여 문양으로 사용한 사례도 포함하였다. 기타에는 한복과 함께 착용되는 비녀, 노리개 등의 장신구와 전통매듭, 누빔 같은 바느질 기법 등이 속한다.

2. 유니폼의 정의와 유형

유니폼(uniform)이란 일정한 기준에 의해 정해진 일정 양식의 복장을 의미하며, uniform이라는 단어는 라틴어의 unus(하나의)와 forma(형태, 형)에서 생긴 합성어로서 일정한 형태나 외양을 가리킨다.(‘uniform’, n.d.) 유니폼은 일반 의복과 달리 착용 상황 및 장소가 정해져 있고 특정한 목적을 두고 착용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른 기능과 역할 등을 가진다.

유니폼은 착용자로 하여금 소속감과 책임감을 가지게 하며, 유니폼을 착용함으로써 신분을 표시하거나 속한 단체를 대표하는 기능을 가지게 한다. 이러한 유니폼에는 군복, 교복, 기업의 업무복 뿐만 아니라 특정 단체가 공통적으로 착용하는 의복 모두 유니폼에 속한다고 할 수 있다. 앞에서 정리한 바와 같이 복식에서의 한국적 이미지는 한복에 자연스럽게 내재되어 있는 한국의 문화와 정서라고 할 수 있으며, 대체적으로 복식을 구성하는 요소를 통해 그 특징이 나타난다는 점을 바탕으로 하여 한국적 유니폼에 대해 정의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한국적 유니폼이란 한복의 형태, 소재, 색채, 문양 등을 디자인 요소로 활용하여 한국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유니폼으로써, 본 연구는 한국의 이미지 전파 및 한복의 세계화를 위한 한국적 유니폼 디자인의 세계화를 목적으로 한 연구이므로 다양한 범위의 유니폼 유형 중에서 한국적 이미지에 대한 홍보효과를 줄 수 있는 유형의 유니폼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유니폼의 유형에 대하여 Na(2012)는 유니폼의 착용목적에 따라 서비스직의 유니폼, 사무직의 유니폼, 생산직의 유니폼으로 분류하였다. 이 중에서 한국적 이미지를 홍보하고자 하는 목적에 부합하는 것은 사람들이 쉽게 자주 접할 수 있는 서비스직 유니폼이라 사료되며, 그 중에서도 한국적 이미지를 홍보하기 위해서는 한국을 방문 및 관광하는 외국인 혹은 국내를 여행하는 내국인들이 쉽게 접하고 가깝게 느낄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대표적으로 항공사 승무원 유니폼이 있는데, 때문에 국내의 대표적인 대형 항공사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한국적인 색감 및 이미지를 활용한 유니폼을 활용하고 있다. 그 외에도 KTX와 같은 기차 승무원의 유니폼이나 호텔 직원의 유니폼 또한 한국적 이미지를 홍보하는데 효과적인 유니폼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한국적 이미지를 대표한다고 할 수 있는 고궁 등의 문화해설사 유니폼 역시 그에 효과적인 유니폼이라고 할 수 있다.

이처럼 한국적 이미지에 대한 홍보효과를 줄 수 있는 유니폼은 여러 가지로 찾아볼 수 있는데, 이를 각 분야별로 분류하여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통 서비스 직종 유니폼으로 가장 처음에 언급했던 항공사 승무원 유니폼과 기차 승무원 유니폼, 버스 기사, 지하철 역무원, 택시 기사 등의 유니폼이 여기에 속한다. 둘째, 숙박 서비스 직종 유니폼으로 호텔 직원 유니폼 등이 있다. 셋째, 요식업 서비스 직종 유니폼이다. 음식은 한 나라의 문화를 접할 수 있는 대표적인 요소 중 하나로, 이러한 음식과 복식을 연관 지어 활용하는 것은 무엇보다도 효과적으로 한국적 이미지를 홍보하는 방법이 될 것이다. 넷째, 관광명소 서비스 직종 유니폼이다. 고궁, 박물관, 쇼핑거리 등 대다수의 사람들이 방문하고 관심을 가지는 장소에서 한국적 이미지를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한국적 이미지에 대한 효과적인 홍보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여기에는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문화해설사의 유니폼, 큐레이터의 유니폼, 관광 가이드의 유니폼뿐만 아니라 관광명소 곳곳에서 무의식 중에 사람들이 마주치고 자주 접하게 되는 근무자들의 유니폼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환경미화원의 유니폼이나 경비원의 유니폼 등은 사람들이 큰 의식 없이 일상적으로 접하는 만큼 한국적 이미지를 인식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위의 네 가지 분야에 포함되지 않는 직종의 유니폼이 있다. 예를 들어 올림픽이나 아시안 게임 같은 국제 행사에서 일정 기간 동안만 사용되는 유니폼을 들 수 있다. 위와 같은 다섯 가지 분야의 유니폼은 한국적 이미지에 대한 홍보효과를 지닌 유니폼으로써 본 연구에서는 한국적 유니폼을 세계화기 위하여 이들 유니폼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Ⅲ. 연구 결과
1. 한국적 유니폼 디자인 개발과 활용 현황

한국적 유니폼의 디자인 개발에 대해서는 공모전이나 연구 논문 등을 통한 디자인 개발 현황을 살펴볼 수 있다. 공모전을 통해 한국적 유니폼 디자인이 개발되는 사례는 2008 한복사랑 페스티벌, 2009 온누리 한복 디자인 공모전, 문화체육관광부 주최의 한복디자인 공모전(Hanbok Advancement Center [HAC], n.d.) 등에서 한복을 활용한 유니폼 디자인을 공모한 사례와, 2014년의 한국 유니폼디자인 공모전과 같이 유니폼 공모전의 공모 주제가 한국적 이미지와 관련된 사례가 있다. 이러한 공모전을 통해 한국적 유니폼이 다양하게 개발되었다. 다만 한국적 이미지를 나타낸 유니폼 공모전은 해당 년도의 주제 설정으로 인한 한시적인 공모로, 한국적 유니폼 자체를 목적으로 하여 꾸준히 주최되는 공모전은 찾아볼 수가 없다. 그리고 여러 연구자들에 의해 항공사 승무원 유니폼(Kang, 2008; Shim & Kang, 2009; Min, 2011; Jung et al., 2012; Jin & Lee, 2003), 한식당 유니폼(Lim, 2005; Kim & Kang, 2004), 박물관 유니폼(Kim, 2008), 스포츠 유니폼(Kim &Park, 2002; Park, 2013), 호텔 종업원 유니폼(Baek, 2000) 등을 통해 이루어진 한국적 유니폼의 디자인 연구사례가 있다. 디자인 개발된 한국적 유니폼과 실제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한국적 유니폼 총 216개를 수집하여 각 유니폼 유형의 빈도수와 비율을 분석하여 정리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Table 1>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Design Development and use of Korean Uniform
Types of Uniform Design Developed Korean Uniform Used Korean Uniform
N % N %
Traffic Business 41 40.2 2 1.8
Lodging Business 4 3.9 3 2.6
Restaurant Business 30 29.4 85 74.6
Tourism Business 25 24.5 3 2.6
Other Business(Ceremony etc.) 2 2 21 18.4
Total 102 100 114 100

실제 한국적 유니폼 디자인이 활용되는 사례를 살펴보면, 온·오프라인을 통해 한복을 활용한 디자인의 유니폼들이 판매되고 있다. 그리고 2011 대구 세계육상대회, 2014 인천 아시안게임 등 국내에서 개최된 국제 행사에서도 한국적 유니폼의 사용을 볼 수 있었다. 그 외에도 호텔, 항공사, 교복, 고궁 문화해설사와 같은 관공서 등에서도 한국적 유니폼이 사용되고 있다.

한국적 이미지를 활용하여 디자인 개발된 유니폼의 유형은 40% 이상이 교통 서비스 직종에 치중되어 있었으며 그 중에서도 항공사 승무원 유니폼이 대부분이었다. 그 다음으로 많이 개발된 유형은 29.4%로 나타난 요식업 서비스 직종 즉 한식당에서 착용되는 유니폼이었으며, 이어서 궁궐 안내원, 박물관 유니폼과 같은 관광명소 서비스 직종의 유니폼 개발이 24.5%로 많았다.

현장에서 실제 활용되고 있는 한국적 유니폼은 74.6%의 높은 비율로 요식업 서비스 직종 즉, 대부분 한식당에서 활용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18.4%가 국제행사의 의전 유니폼으로 활용되고 있었다. 그 외에 교통 서비스 직종, 숙박 서비스 직종, 관광명소 서비스 직종의 유니폼은 각각 1.8%, 2.6%, 2.6%으로 상당히 낮은 비율을 보였다.

2. 유니폼 디자인의 한국적 요소 활용 현황

관련 공모전 및 연구 논문, 프로젝트 등을 통해 개발된 한국적 유니폼과 실제 현장에서 판매 및 활용되는 한국적 유니폼에 나타난 한국적 이미지를 색채, 소재, 형태, 문양, 기타 요소로 나누어 분석하였고, 그 중에서도 형태적 요소를 각 유니폼에서 활용된 구체적인 요소에 따라 그 빈도수와 활용 비율을 분석하여 정리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유니폼 하나 당 활용된 한국적 요소는 두 가지 이상의 요소를 중복하여 활용한 경우가 많아, 한국적 요소의 활용 빈도수의 총합은 분석한 유니폼의 전체 개수보다 큰 값을 가진다.

<Table 2> 
Analysis on the Current Status of use of Korean Factor on Uniform Design
Korean Factor used Uniform Design Design Developed Korean Uniform Used Korean Uniform
N % N %
Color 38 37.3 28 24.6
Material 31 30.4 33 28.9
Shape Git 62 30 60.8 41.7 106 86 93 75.4
Goreum 14 19.4 17 14.9
Dongjeong 1 1.4 5 4.4
Baerae 3 4.2 21 18.4
Ggeutdong 4 5.6 34 29.8
Seop 2 2.8 16 14
Chima 14 19.4 48 42.1
Gyeotmagi 1 1.4 11 9.6
Durumagi 1 1.4 0 0
Cheolic 1 1.4 0 0
Bangryeongpo 4 5.6 0 0
Acjurumpo 1 1.4 0 0
Dangui 11 15.3 3 2.6
Baeja 3 4.2 2 1.8
Seon(襈) 1 1.4 1 0.9
Belt(帶) 0 0 4 3.5
Beoseon 1 1.4 0 0
Pocket 1 1.4 0 0
Baji 0 0 1 0.9
Pattern 41 40.2 43 37.7
Others 9 8.8 29 25.4
Total 181 177.5 239 209.6

디자인 개발된 한국적 유니폼에서 60.8%의 비율로 활용 빈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요소는 형태였다. 형태는 깃, 고름, 동정, 끝동 등 총 17가지의 요소가 다양하게 활용되었는데, <Fig. 1>과 같이 깃을 활용한 디자인이 가장 많았고, <Fig. 2, 3>의 디자인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철릭, 당의, 배자, 액주름, 버선과 같은 다양한 한복의 종류가 활용되었다. 디자인 개발된 한국적 유니폼에서 활용된 한국적 요소 중 세부적인 형태적 요소는 깃, 고름, 치마, 당의를 활용한 비율이 각각 41.7%, 19.4%, 19.4%, 15.3%로 가장 많이 활용되었고, 그 외에도 동정, 배래, 끝동, 섶, 곁마기, 두루마기, 철릭, 방령포, 액주름포, 배자, 선(襈), 버선, 복주머니 등이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디자인 개발된 유니폼에 활용된 한국적 요소 중에서 문양과 색채도 각각 40.2%와 37.3%의 비교적 높은 비율로 나타났는데, 색채는 주로 색동이 많이 활용되었다. 한복의 소재를 활용한 디자인은 30.4%로 양단이나 모시가 주로 사용되었으며 유니폼이라는 특성 상 착용과 관리가 비교적 용이한 현대적 소재를 사용한 디자인이 많아 한국적 소재의 활용 비율은 비교적 낮았다. 기타로는 노리개, 누빔 기법, 매듭단추, 잣물림 장식 등이 유니폼 디자인에 활용되었다.


<Fig. 1> 
Design Developed Korean Uniform
(2009 Hanboksarang Festival, 2009)



<Fig. 2> 
Design Developed Korean Uniform
(Kim, 2009)



<Fig. 3> 
Design Developed Korean Uniform
(Kim, 2011)


실제 활용되고 있는 한국적 유니폼에 나타난 한국적 이미지는 한복의 형태적 요소를 활용한 비율이 93%로 가장 높았다. 그 중에서도 <Fig. 4, 5>와 같이 깃이나 끝동 등의 저고리 형태를 활용한 디자인이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도 <Fig. 6>의 유니폼에서 고름에 색동을 활용한 것과 같이 색채적 요소나 문양이 활용된 디자인이 많았다. 또한 <Fig. 7>과 같이 국제행사에서 사용된 의전 유니폼은 보다 한국적 이미지를 강하게 나타내기 위해 한복의 형태뿐만 아니라 소재까지도 그대로 사용한 디자인이 많이 나타났다. 실제 활용되고 있는 한국적 유니폼에 활용된 한국적 형태 요소에 대해 자세히 분석하여 보면, 깃, 치마, 끝동, 배래, 고름, 섶 등의 요소들이 각각 75.4%, 42.1%, 29.8%, 18.4%, 14.9%, 14%의 비율로 비교적 활용 비율이 높았으며, 그 외에는 동정, 곁마기, 당의, 배자, 선(襈), 대(帶), 바지 등 총 13 가지의 요소가 활용되었다.


<Fig. 4> 
Korean Restaurant Uniform
(Hanbok Uniformm, n.d.)



<Fig. 5> 
Cultural Tourism Interpreter Uniform
(Park, 2016)



<Fig. 6> 
Cultural Tourism Interpreter Uniform
(Photography by Researcher)



<Fig. 7> 
2014 Incheon Asian Game Award Guide Uniform
(Sung, 2014)


3. 한국적 유니폼 활용의 문제점

한국적 유니폼 디자인의 개발 및 활용 현황과 각 유니폼 디자인의 한국적 요소 활용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한 결과를 통해 한국적 유니폼 활용의 문제점을 확인 할 수 있는데, 공모전이나 연구 논문 등을 통해 디자인 개발 된 유니폼의 유형은 교통, 숙박, 요식업, 관광명소 서비스 직종 그리고 기타 직종의 유니폼 등이 있으며 그 중 교통 서비스 직종의 유니폼 개발 비율이 40.2%로 가장 높지만 요식업 서비스와 관광명소 서비스 직종의 유니폼 개발 비율도 각각 29.4%와 24.5%로 높은 편이다. 하지만 실제 활용되는 한국적 유니폼의 유형은 요식업 서비스 직종의 비율이 74.6%로, 그다음으로 높은 기타 직종의 18.4%에 비해서도 4배 이상의 월등히 높은 비율을 보인다. 이는 한국적 유니폼의 디자인 개발이 실제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는 유형과는 무관하게 개발되고 있으며, 반대로 현장에서는 개발되는 유니폼 유형에 비해 일부에 불과한 분야에서만 한국적 유니폼이 활용되고 있다는 문제점을 드러내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디자인 개발 된 한국적 유니폼에 나타난 한국적인 요소는 색채, 소재, 형태, 문양 등이 비슷한 비율을 보이며 다양하게 활용되었다. 실제 활용되는 한국적 유니폼도 색채, 소재, 문양, 기타 요소가 2~30%의 비슷한 비율로 다양하게 활용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형태적인 요소의 활용 비율이 92.9%의 높은 비율을 보이며 거의 모든 디자인에서 한복의 형태적 요소가 활용되었다. 한국적 유니폼 디자인에 활용된 요소 가운데 구체적인 형태적 요소 활용 빈도 분석 결과에 따르면, 디자인 개발된 한국적 유니폼에 활용된 형태적 요소는 깃, 고름, 치마, 당의 등이 많이 활용되었고 그 외에 동정, 배래, 끝동, 섶, 곁마기와 같은 저고리의 형태적 요소뿐만 아니라 두루마기, 철릭, 방령포, 액주름포 등의 다양한 남성 포류와 배자, 선(襈), 버선, 복주머니 등까지 총 17가지의 다양한 한복의 형태적 요소가 활용되었다. 반면 실제 활용되는 한국적 유니폼에 활용된 형태적 요소의 종류는 총 13가지로, 디자인 개발된 유니폼에 활용된 요소에 비해 형태적 다양성이 부족한 편이며, 활용된 요소 또한 깃, 고름, 동정, 배래, 끝동, 섶 등 저고리를 구성하는 요소의 비율이 높아, 디자인 개발된 유니폼에는 두루마기, 철릭, 방령포, 액주름포 등 포류까지도 다양하게 활용되었던 것에 비해 한국적 요소의 활용 및 그 디자인이 제한적이라고 볼 수 있다.


Ⅳ. 한국적 유니폼의 문제점과 세계화를 위한 활용 방안

앞서 분석한 한국적 유니폼의 개발과 실제 활용 현황을 비교하여 보면 각각 개발되고 활용되는 유니폼의 유형이 서로 다르고, 각 유니폼 디자인에 나타나는 한국적 요소에도 차이가 있음을 보여 한국적 유니폼의 디자인 개발과 실제 활용에 간과 할 수 없는 간극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한국적 유니폼을 세계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활용 방안을 고찰하였다.

1. 연구와 현장과의 소통 및 협력

한국적 유니폼 디자인의 개발 현황과 실제 활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디자인 개발된 유니폼의 유형은 교통 서비스 직종, 요식업 서비스 직종, 관광명소 서비스 직종 등이 비교적 비슷한 비율로 고르게 개발된 것에 비하여 실제 활용되는 유니폼은 요식업 서비스 직종에 치중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유니폼의 디자인 또한 철릭, 당의, 배자, 액주름, 버선 등의 한복의 다양한 형태적 요소와 노리개, 누빔 기법, 매듭단추, 잣물림 장식과 같이 다양한 기법과 장식들이 유니폼 디자인 개발에 활용되었는데, 정작 실제로 활용되고 있는 유니폼의 디자인을 살펴본 결과 깃, 고름, 치마 실루엣과 같이 저고리의 구성 요소를 중심으로 한 비교적 식상한 요소들이 활용된 디자인이 대다수였다. <Fig. 8>은 LA 한인타운에 있는 한 한식당에서 2001년도에 촬영된 사진이다. 이를 현재 온라인에서 판매하고 있는 <Fig. 9>의 유니폼과 비교하여 보면, 15년 전 해외에 있는 한식당에서 사용되었던 유니폼과 현재 국내 온라인 유니폼 사이트에서 판매되는 유니폼이 디자인적인 면에서 큰 차이나 발전이 없이 비슷한 것을 알 수 있다. 즉, 해마다 디자인 개발되는 한국적 유니폼과는 별개로 실제 사용되고 있는 한국적 유니폼의 디자인은 십년이 넘도록 큰 변화가 없음을 나타낸다. 이는 한국적 유니폼의 디자인 개발과 활용이 일치하지 않음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사료되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적 유니폼 디자인을 세계화하기 위해서는 디자인을 개발하는 연구진과 실제로 유니폼을 사용하는 현장과의 소통과 협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Fig. 8> 
Korean Restaurant Uniform in LA
(Restaurant employee’s Uniform Wind, 2001)



<Fig. 9> 
Korean Restaurant Uniform
(Hanbok Uniformm n.d.)


2. 한국적 유니폼 활용 분야 확장

현재 한국적 유니폼이 실제로 활용되고 있는 유형을 분석한 결과 75% 이상이 요식업 서비스 직종에서 활용되고 있음이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요식업 서비스 직종만이 아니라 교통 서비스 직종과 관광명소 서비스 직종의 유니폼까지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 한국적 유니폼의 디자인 개발 현황과 일치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한국적 유니폼이 요식업이라는 한 분야에서만 제한적으로 활용되고 있는 현실을 보여준다. <Fig. 10, 11>은 방콕의 호텔과 스파의 유니폼인데, 태국에서는 이처럼 보다 다양한 분야에서 전통적인 이미지의 유니폼을 활용하는 경우가 많다. 한국적 유니폼을 개발한 여러 선행연구와 공모전, 프로젝트의 의도에서도 알 수 있듯이 한복을 세계화하고 한국적 이미지를 세계에 알리기 위해서는 태국의 사례와 같이 항공사 승무원 유니폼에서부터 호텔 및 환경미화원의 유니폼까지 신분과 장소를 망라하는 유니폼 유형의 다양화와 실제 활용 분야 확장의 필요성이 대두된다.


<Fig. 10> 
Hotel Uniform in Thailand
(Dusit Thai, 2016)



<Fig. 11> 
Spa Uniform in Thailand
(Thai Uniform that make Fashion, n.d.)


3. 디자인 DB개발 및 활용

현재 국내에서는 공모전과 연구논문, 프로젝트 등을 통해 다양한 한국적 유니폼 디자인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이렇게 개발된 디자인들은 체계적인 연구를 바탕으로 디자인된 만큼 현대적이면서도 한국적 이미지를 효과적으로 나타내는 디자인이라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현장에서 활용되는 한국적 유니폼의 디자인은 개발된 디자인에 비해 단조롭고, 판매되는 유니폼 간에 서로 유사한 디자인을 보이고 있다. 이는 개발된 디자인이 그저 디자인 개발에만 그치며 실제로는 거의 활용되지 않고 있음을 나타내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체계적인 연구를 통해 개발된 디자인들이 개발 단계에서 그치지 않고 실제로 활용될 수 있도록 개발된 디자인과 유니폼 활용 현장을 이어주는 플랫폼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Fig. 12>의 문화콘텐츠닷컴이나 <Fig. 13>의 학술연구정보서비스 사이트와 같이 데이터베이스 사이트에 다양한 루트를 통해 개발된 한국적 유니폼의 디자인을 업로드 해두고, 사용자들은 원하는 디자인의 한국적 유니폼의 이미지와 패턴 등을 적절한 디자인 사용료를 지불하고 다운받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스템을 통해 보다 다양한 한국적 요소가 활용된 독창적인 디자인의 유니폼들이 실제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Fig. 12> 
Culture Contents.com
(Culturecontent.com, n.d.)



<Fig. 13>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n.d.)



Ⅴ. 결론

한국의 이미지를 세계에 알리고 한복을 세계화하기 위해서는 한국적인 유니폼을 통해 한복을 보다 친근하고 가깝게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하지만 지금까지의 연구는 한국적인 유니폼의 디자인 현황 조사 및 디자인 개발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한국적 이미지를 홍보할 수 있는 유니폼을 중심으로 현재 국내와 해외에서 한국적인 유니폼이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는 현황을 살펴보고, 한국적인 유니폼의 발전 가능한 부분과 현재 활용되고 있는 상황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최근 10년간의 한복 및 유니폼 관련 공모전의 입상 이상의 작품과 디자인 개발 논문에서 제시된 디자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온라인 및 오프라인에서 현재 판매되는 것과 관련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유니폼을 대상으로 하였다.

유니폼의 유형은 한국적 이미지에 대한 홍보효과를 지닌 유니폼으로써 한국을 방문 및 관광하는 외국인 혹은 국내를 여행하는 내국인들이 쉽게 접하고 가깝게 느낄 수 있는 교통, 숙박, 요식업, 관광명소 서비스 직종 그리고 기타 직종의 다섯 가지 분야의 유니폼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유니폼에 나타난 한국적 요소는 색채, 소재, 형태, 문양과 기타 요소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공모전이나 연구 논문 등을 통하여 다섯 가지 유형의 유니폼이 다양하게 개발되었으며 그 중에서도 항공사 승무원과 한식당 유니폼, 궁궐안내원 및 박물관 유니폼 등을 중심으로 디자인 개발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디자인적인 면에서는 색동, 양단 등의 한복 소재, 깃, 고름, 당의 등 한복의 형태적인 요소와 식물문, 문자문과 같은 전통문양 등 색채, 소재, 형태와 문양 면에서 다양한 한국적인 요소들이 활용되었다. 반면 실제 활용되는 유니폼은 요식업 서비스 직종인 한식당에서 활용되는 비율이 눈에 띄게 높으며, 디자인적인 면에서는 소재, 형태, 문양 등에서 한국적인 요소가 활용되었는데 그 중에서도 깃, 고름, 끝동 등 저고리의 형태적 요소를 활용한 비율이 높았다. 공모전, 디자인 연구 등을 통해 한국적 유니폼 디자인이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는데 비해, 실제 판매되고 사용되는 디자인은 한정되어 있으며, 특히 한국적 유니폼이 가장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한식당 유니폼은 그 디자인이 최신 유행을 반영하지 못하거나 오래되고 서로 유사한 디자인이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한국적 유니폼 디자인을 활용하고 세계화하기 위해서는 첫째, 한국적 유니폼 디자인을 개발하는 디자이너, 연구진들과 실제로 유니폼을 사용하는 현장 간의 소통이 이루어져야 한다. 현재는 디자인 개발과 활용이 서로 별개로 진행되어 개발되는 유니폼 유형이 실제 자주 활용되는 직종과 일치하지 않으며, 해마다 개발되는 디자인은 다양한 한국적인 요소를 활용하여 독창적인 디자인이 많은데 반해 현장에서 활용되는 유니폼 디자인은 오랜 기간 큰 변화가 없고 유사한 디자인의 사용 빈도가 높다. 때문에 서로간의 소통을 통해 디자인 개발과 활용이 함께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보다 다양하고 한국적 이미지를 홍보하기에 효과적인 분야에서 한국적 유니폼을 활용해야 한다. 환경미화원이나 경비원 등의 유니폼은 사람들이 큰 의식 없이 일상적으로 접하는 만큼 한국적 이미지를 인식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현재 한국적 유니폼 디자인은 여러 방법과 수단을 통해 다양하고 창의적으로 개발되고 있으나 정작 개발된 디자인은 활용되지 않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디자인 DB를 통해 저작권료를 내고 디자인을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 제작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적 유니폼을 연구 대상으로 수집함에 있어, 공모전 홈페이지 등이 대부분 사라지고 수상작 등이 체계적으로 관리되지 않아 정보 수집에 한계가 있었으며, 실물이 아닌 이미지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는 제한점이 있다. 다만 다양한 유형의 유니폼 디자인 개발과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개발 현황을 실제 활용 현황과 비교 분석한 자료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2015년도 중앙대학교 CAU GRS 지원에 의하여 작성되었음.


References
1. 2009 Hanboksarang Festival, 2009, October, 25, Retrieved from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vhflqpower&logNo=91884118&parentCategoryNo=&categoryNo=&viewDate=&isShowPopularPosts=false&from=postView.
2. Baek, B. N., (2000), A study for development of the uniform design of the hotel employees utilizing traditional Korean beauty in a modern way,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e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3. Cha, M. H, & Na, S. S., (2014), A Case Study on Art Collaboration Utilizing Korean Imag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mmunication Design, 23, p166-175.
4. Culturecontent.com, (n.d.), Retrieved from http://www.culturecontent.com/main.do.
5. Dusit Thai, 2016, February, Retrievved from http://www.dusit.com/dusitthani/guamresort/news/korean-singer-song-dae-kwan-visits-dusit-thani-guam-resort/.
6. Eum, J. S., & Yoo, Y. S., (2008), A content analysis of researches about "Korean style image" in 2000~2008 -focusing on the field of clothing and textile,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10(5), p333-341.
7. Hanbok Advancement Center [HAC], (n.d.), Retrieved from http://www.hanbokcenter.kr/user/nd38546.do.
8. Hanbok uniform, 2014, August, 20, Retrieved from http://www.11st.co.kr/product/SellerProductDetail.tmall?method=getSellerProductDetail&prdNo=996401707&trTypeCd=21&trCtgrNo=null.
9. Hwang, J. S., & Ha, J. S., (2010), The effects of Korean image benefits sought on Korean image associations and clothing preferences, Journal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13(3), p77-93.
10. Jin, K. O., & Lee, M. J., (2003), A study on uniform design applied orientalism, Fashion & Textile Research Journal, 5(5), p443-452.
11. Jung, J. C., Park, S. K., & Min, S. J., (2012), A Study on Uniform Design of Female Flight Attendants Using Korean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2(1), p55-73.
12. Kang, J. Y., (2008), A study on airline cabin crews' uniform design applied with hanbok, (Unpublished master’s thesis), Sungshin Women’s Univesity, Seoul, Republic of Korea.
13. Kim, E. J., & Kang, S. J., (2004), A study of present circumstance of uniform design for Korean restaurant employees in hotel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4(8), p101-112.
14. Kim, K. I., 2009, October, 24, Hanbok and mini skirt meeting, Bnt News, Retrieved from http://bntnews.hankyung.com/apps/news?nid=02&nkey=200910242150273&mode=sub_view.
15. Kim, M. J., & Park, J H., (2002), Soccer uniform designs representing Korean im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52(4), p125-139.
16. Kim, M. J., (2008), Designing national museum of korea uniform inspired by Korean symbols, (Unpublished master’s thesis), Ehwa Women’s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17. Kim, Y. H., 2011, January, Uniform, take beauty of Korea, Design house, Retrieved from http://happy.designhouse.co.kr/magazine/magazine_view/00010004/2939?call=list.
18. Lee, C. H., (2000), The Analysis of Meaning of Korean Image Reflected in Modern Clothing,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8(4), p562-576.
19. Lee, S. E., & Lee, Y. M., (2001), A Study on Developing Fashion Items of Korean Image Ⅰ, Journal of the Korean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3(1), p93-115.
20. Lim, K. H., (2005), A Study on Wearing Satisfaction and Purchase about Hanbok Uniforms of Korean Style Food Restaura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9(3,4), p462-469.
21. Min, S. J., (2011), Study on uniform design for enhancing the national brand image : focusing on Koreanstyle uniforms of female flight attenda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okmin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2. Na, H. S., (2012), A case study on the uniform design of domestic enterprises,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Republic of Korea.
23. Park, H. J., (2013), Suggestions for badminton wear employing motives from Korean traditional pattern, (Unpublished master’s thesis), Hongik University, Seoul, Republic of Korea.
24. Park, J. H., 2016, April, 14, Norway’s prime minister visit Gyeongbokgung Palace, Diodeo, Retrieved from http://www.diodeo.com/news/view/1545156.
25.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n.d.), Retrieved from http://www.riss.kr/index.do.
26. Restaurant Employee’s Uniform Wind, 2001, November, 15, Korea Daily, Retrieved from http://www.koreadaily.com/news/read.asp?art_id=153984.
27. Shim, H. J., & Kang, J. Y., (2009), A study on development of uniform design applied with Hanbok : focus on airline cabin crew’s uniform, Conference of The Society of Korean Traditional Costume, 4, p35-36.
28. Sung, J. H., 2014, August, 20, Beauty, Asian game Hanbok, Chosun, Retrieved from http://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8/20/2014082000139.html.
29. Thai Uniforms that make Fashion, (n.d.), Retrieved from http://www.thainarak.net/fashion43-which-uniform-you-like-the-most-eng.html.
30. Uniform, 2014, August, 20, In Doopedia, Retrieved from http://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58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