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2, No. 1, pp.69-86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28 Feb 2022
Received 30 Jan 2022 Revised 11 Feb 2022 Accepted 19 Feb 2022
DOI: https://doi.org/10.7233/jksc.2022.72.1.069

스트리트 패션을 통한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의 패션 색채 특성 연구 : 서부 자바(West Java) 반둥시(Bandung City)를 중심으로

양정희 ; 박혜원
창원대학교 의류학과 강사
창원대학교 의류학과, 시니어휴먼에콜로지 협동과정 교수
A Study on Fashion Color Characteristics of Indonesian Muslim Women through Street Fashion : Focused on Bandung City, West Java
Junghee Yang ; Hyewon Park
Lecturer, Dept. of Clothing & Textiles,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Interdisciplinary Program in Senior Human Ecology,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Hyewon Park, e-mail: hwpark@changwon.ac.kr

Abstract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fashion color characteristics of Muslim women in Indonesian street fashion, which shows rapidly growing interests in K-fashion. For the research method, 329 street fashion photographs taken in Indonesia were selected to analyze color, tone, and color scheme image of clothes, veil and shoes in the photo. As a result of color analysis, there were more achromatic colors than chromatic colors, and PB was shown the most among chromatic colors, and R and YR were also frequently found. As for the achromatic color, Bk was shown the most in the distribution, Bk was shown the most in the total color of clothes and accessories as well. W was also found frequently. As a result of tone analysis, black was found the most in the distribution and white was the second most. The next most analyzed tone was in the order of light grayish > soft > pale, followed by grayish = light gray > dull > dark grayish > strong > dark = medium gray > deep > light > dark gray> vivid > bright. Coloration image was found in the order of Hard-Static, Soft-Static, and Hard-Dynamic, but Soft-Dynamic coloration was rarely found. As for adjectives, ‘modern/decent’ was the most in the distribution, followed by ‘graceful’ and ‘elegant’, indicating that many adjectives corresponding to the Hard-Static area were shown in large numbers.

Keywords:

color scheme image, fashion color characteristic, Muslim women’s fashion, street fashion

키워드:

배색 이미지, 패션 컬러 특성, 무슬림 여성 패션, 스트리트 패션

Ⅰ. 서론

2021년 한국 콘텐츠 진흥원이 발간한 『인도네시아 패션 산업 환경 동향』 보고서에는 인도네시아 패션, 모디스트(modest) 패션, 의류, 봉제의 네개의 산업분야를 구분하여 각각의 이슈를 심층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이 보고서에 의하면 인도네시아는 자국의 세계 최대 무슬림 인구와 발전된 봉제 의류 산업을 기반으로 전 세계 무슬림 패션 시장에서 주도권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는 중이며 특히 정부의 다양한 지원에 힘입어 모디스트 패션(이슬람의 종교적 율법에 부합하는 의류로, 여성의 경우 실루엣이 나타나지 않으며 신체의 노출을 최소화하는 의상) 관련 디자이너와 브랜드가 성장하고 있다고 하였다(Shin & Lee, 2021). 이 보고서는 또한 인도네시아는 인구가 2억 7,000만명에 달하며 패션 산업 시장 규모는 지난해 132억 달러(14조 7,000억 원)에 이르러, 이중 의류 분야가 106억 달러(11조 8,640억 원)로 80% 이상을 차지하는 매우 거대한 패션 시장이라고 밝혔다. 그리고 인도네시아는 지속적 경제 성장에 따른 가계 소득의 증가로 패션 산업은 연평균 10% 이상 성장해, 2025년에 시장 규모가 194억 달러(21조 6,4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따라서 인도네시아의 패션 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측되는 패션 시장으로 K 패션 산업 진출 및 발전 가능성을 기대해 볼 수 있다.

한편 어패럴 뉴스에서는 K 패션에 대한 동남아시아의 높은 관심을 언급하며 동남아 최대 쇼핑플랫폼 ‘쇼피(Shopee)’의 한국 패션 상품 주문량이 2020년 대비 2.2배나 증가하였으며, 쇼피 내 한국 상품 거래액이 전년 대비 4배 급증했다고 밝혔다. 또한 2025년 모바일 쇼핑 규모만 1,720억 달러(약 192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 동남아시아 시장에서 한국의 패션 브랜드의 영향력 확대는 충분히 주목되는 부분이라고 하였다(Oh, 2021). 그리고 K 컬처와 K 패션을 결합하고 비대면 디지털로 열린 ‘2021 F/W 서울 패션 위크’ 는 관람수가 2021년 4월 21일 기준 스토리 편집 영상 및 라이브 커머스 포함 472만 뷰를 기록했는데 특히 글로벌 온라인 채널인 유튜브 관람수가 2020년 4만 8,000명에서 22만 8,000명으로 4.8배로 증가했다. 이 중 관람자의 절반 이상인 57.4%는 미국, 일본, 인도네시아 등 해외 유입으로(Kang, 2021) K 패션에 대한 인도네시아의 높은 관심은 의미 있는 결과이다.

K-팝, K-드라마의 유행에 의해 K-팝 스타들과 K-드라마 속 연예인들이 입고 있는 의상에 대한 세계 곳곳의 한류 팬들의 관심으로 K 패션은 한류를 대표하는 콘텐츠 중 하나로 떠오르게 되었다(Kim, 2017). 예전의 K 패션의 대표적 이미지가 K-Pop 아이돌들의 화려한 무대 의상이었다면 최근엔 일반인들의 스트리트 패션으로 바뀌고 있다. 특히 인도네시아 K 패션에 대한 관심이 스트리트 패션 및 가방, 구두 등 잡화로 확산되는 추세이다(Cho, 2019).

이제 인도네시아 패션 산업 진출 및 패션 시장 공략을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정보가 필요한 시점으로 현지 소비자로서의 무슬림(Muslim) 스트리트 패션에 대한 연구와 분석은 한국 패션 기업의 동남아 무슬림 패션 시장 진출을 위한 유용한 전략적 정보원이 될 것이다. 스트리트 패션은 대중의 유행에 대한 수용도를 감지할 수 있는 무대로, 패션의 성향이 스트리트 패션에 가장 잘 나타나 있기 때문에 한 시대의 대중적 성향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며(Lee, 2011), 대중들의 패션 취향과 기호를 읽을 수 있다는 점에서 패션 트렌드의 실제를 확인할 수 있다(Kim & Ro, 2018). 특히 스트리트 패션 디자인 중 색채는 시각적 이미지를 나타내는 중요한 요소로서 대중들의 유행 패션 컬러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정보이다. 의복의 색채는 소비자가 상품을 선택하는 의사결정과정의 첫 번째 단계인 흥미 단계에서 매우 중요한 영향 요인으로 의복구매 시 중요한 선택기준이 되고 있다(Kim, Koh, & Hong, 2000). 스트리트 패션 속 색채는 대중들의 선호 색채가 포함된 정보원으로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들의 패션 선호 색채 파악을 위한 스트리트 패션 색채의 심도 깊은 분석은 이슬람 패션 시장 진출 및 무슬림 여성 패션 공략을 위한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스트리트 패션 색채 관련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스트리트 패션 매거진을 통한 대륙별 스트리트 패션의 색채 특성 연구(Ju, Lee, & Choo, 2012), 애슬레져 웨어 스트리트 패션 연구(Hong, 2019; Park & Chun, 2018), 한· 중 스트리트 패션 색채 비교 연구(Bae & Oh, 2009; Jung & Bae 2014; Oh & Bae, 2013; Back, Oh, & Bae, 2016), 중국 스트리트 패션 연구(Bae, 2011; Oh & Bae, 2019) 등의 연구가 있었으며 주로 중국 스트리트 패션과 관련된 연구가 많았다.

무슬림 스트리트 패션 관련 연구는 이란 테헤란 스트리트 패션 중 히잡의 디자인 특성 중 간단한 색상 분석을 실시한 연구(Kim, Kim, & Na, 2020)와 인도네시아 스트리트 패션 디자인 특성 연구(Yang, Setiawardhani, & Park, 2021)가 있었으나 이는 색채를 제외한 디자인 연구였으며, 말레이시아 히자비스타들의 SNS 사진을 통한 색채를 분석한 연구( Park & Jang, 2020)는 패션 인플루언서를 중심으로 수행되어 실제 소비자로서의 무슬림 여성들의 스트리트 패션에서 의복과 액세서리 전체를 대상으로 한 색채와 배색연구는 없었다. 이처럼 무슬림 여성 스트리트 패션 색채 연구는 부족한 현실로 K 패션의 이슬람 패션 시장 진출을 위해 무슬림 여성 스트리트 패션 색채 분석 연구는 가치가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무슬림 패션의 중심으로 부상하고 국가적으로 패션산업을 전략적으로 육성하며 K 패션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인도네시아의 무슬림 여성들의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패션 색채 특성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패션 색채 특성으로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상의, 하의, 원피스, 베일, 신발 아이템의 색상, 색조 분석과 배색 이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의 선호 색채를 파악하여 이슬람 패션 시장 진출 및 무슬림 여성 패션 공략을 위한 유용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1. 패션과 색채

국제색채위원회(ICA: International Color Authority)에 따르면 색채는 스타일이나 가격보다 소비자가 반응하는 첫 번째 요소이며 패션에서 색채는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움직이게 하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고 하였다(Kim, 2020). 색채는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부분이기 때문에 색의 선호는 개인, 연령, 집단, 사상, 지역적, 문화적 영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게 되므로 어떤 색채를 좋아하는가는 여러 가지 상황이나 조건에 따라 변화하게 된다(Je, Yoo, & Choi, 2012). 패션 색채 선호도에 관한 선행 연구들을 살펴보면 MZ세대 여성의 색채 선호 연구(Kim, 2020)에서는 MZ 세대의 선호색과 구매하는 의복색은 색상과 톤에 있어 차이가 있다고 분석하였다. 또한 뉴 실버 세대의 패션 색채 선호도 연구(Lee & Koo, 2021)에서는 뉴 실버 세대의 선호 색과 주로 착용하는 색은 유사하나 선호색과 착용하고 싶은 색은 차이가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과 캐나다 대학생의 패션 제품 선호색 비교 연구(Je & Choi, 2011)에서는 선호 색상 간의 차이는 있는 반면 선호 톤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은 결과를 보였고, 한국과 몽골 여대생의 빨강과 파랑의 색상 선호도 연구(Enkhmaa & Lim, 2014)에서 몽골 여대생이 한국 여대생보다 빨강과 파랑을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양국 여대생 모두 파랑 색상을 던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했다. 이와 같이 다양한 연구에서 연령, 세대, 국가 등에 따른 선호색이 존재하며 그 차이도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매 행위 결정의 큰 역할을 하는 색채 분석 중 타켓의 선호색 파악은 소비자 공략을 위한 첫 걸음이 될 수 있을 것이며, 그들의 디자인 선호와 경향에 부응할 수 있을 것이다.

선호색 연구 동향에 관한 분석 연구(Je, Yoo, & Choi, 2012)에서는 대부분의 선호색 연구는 기존의 먼셀, PCCS 등의 색표계를 사용한다고 밝혔다. 먼셀의 색채계는 사람의 시감(視感)을 기반으로 색을 분류하는 체계로서, 색들을 질서정연하게 배치하고 표기법에 따라 색채를 구분할 수 있게 하였다(Kim, Shon, & Yeo, 2008). Munsell 컬러 변환 소프트웨어인 먼셀 컨버젼 프로그램(Munsell Conversion Program)은 웹상 이미지의 색채 분석이 가능한 프로그램이다. 이미지 분석(Image analysis) 툴을 사용하여 화면상 커서를 위치시켜 H V/C 추출이 가능하며 Photoshop 프로그램의 아이드로퍼 툴(Eyedropper tool)을 사용하여 추출한 RGB 값을 먼셀 H V/C 값으로 변환이 가능하다<Fig 1>. PCCS(Practical Color Coordination System) 색조체계는 색의 명암, 농담, 강약 등의 색상, 명도, 채도를 복합시킨 방법으로 톤이 같은 색은 색상이 바뀌어도 감정효과는 공통되게 된다(Jo, Nam, Park, Oh, & Park, 2005). 색채 조화를 주목적으로 한 컬러체계로서 톤의 체계가 도입되어 배색 조화를 얻기가 용이하며, 계통색명과 쉽게 대응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Lee & Lee, 2011)<Fig 2>.

<Fig. 1>

Munsell Conversion Program(Wallkillcolor, n.d.)

<Fig. 2>

PCCS Tone(Doopedia, n.d.)

패션에서의 색채는 복식의 느낌을 형성하는데 다른 디자인의 요소보다 시각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복식에 사용되는 색채가 전달하는 이미지가 디자인하고자 하는 패션 이미지를 형성하는데 적절한 효과를 주며, 그 이미지가 잘 전달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색채를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Kim, Han, & Kim, 2006). 따라서 패션 색채 이미지 분석을 통해 공략하고자 하는 소비자 타겟의 선호 이미지에 부합시킨다면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색채 이미지 분석 방법 중 IRI 색채 이미지 스케일은 IRI(Image Research Institute) 색채 디자인 연구소가 1998년 산업자원부 지원의 “색채 기호 유형 추출에 관한 연구” 프로젝트에서 소비자의 감성을 보다 정확히 파악하여 디자인에 반영할 수 있는 효과적인 색채 기호 조사 및 분석 도구로서 개발한 것이다(Won, 2017). 이미지 스케일은 색을 통해 인간이 인지하는 감성 차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객관화시켜 형성한 이미지 공간을 의미하며, 색책계획 또는 감성배색을 진행할시에 이미지 스케일을 참고 활용하면 색의 객관화와 정확성을 높일 수 있다. 한국인의 감성 특성을 반영하고 실질적으로 한국인의 감성표현 활용 시 유용하도록 개발되었음에 중요한 의미가 있는 IRI 이미지 스케일(Park, 2017)은 단색 이미지 스케일, 배색 이미지 스케일, 감성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로 분류된다. 또한 12가지의 대표 형용사를 기준으로 그 이미지에 부합되는 배색을 제시하였는데 부드러운(soft), 딱딱한(hard), 동적인(dynamic), 정적인(static)의 4축을 설정하고, 각각의 배색들은 이미지 스케일 안에 배치하여 느낌을 파악하도록 하였다(Lee, 2012)<Fig. 3>. 이상의 선행연구들을 볼 때 국가, 연령, 세대 그리고 종교 등에 따른 선호색이 존재할 것이며 색상, 명도, 채도의 색채 삼속성과 톤 분석 그리고 배색 이미지 스케일을 활용한 색채분석은 의미가 있다.

<Fig. 3>

IRI Color Scheme Image Scale(Iricolor, n.d.)

2. 무슬림 패션 색채 선행연구

무슬림 패션 중 색채를 다루고 있는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 <Table 1>과 같다. Choi & Kim(2019)의 연구에서는 2000년대 이후 세계 4대 컬렉션을 대상으로 무슬림 패션의 스타일을 연구하였는데 색상 분석 결과 Bk가 가장 많이 분석되었고 PB, RP, YR의 순으로 W와 다양한 유채색이 나타났다고 분석하였다. 톤은 뉴트럴과 스트롱 톤이 상대적으로 많이 나왔으나 다양한 톤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 다양한 컬러 톤으로 전개되었다고 설명하였다. Kim et al.(2020)의 연구에서는 이란 테헤란 스트리트 패션 속 히잡의 이미지 연출과 디자인 특성을 연구하였는데 이미지에 따른 색상 분석 결과는 로맨틱 페미닌 이미지에 나타난 히잡은 파스텔 컬러가 주로 사용되었고, 모던 시크 이미지에서는 블랙 또는 블랙 & 화이트 컬러가 사용되었다고 분석하였다. 또한 내추럴 엘리건트 이미지에서는 베이지 계열의 컬러가, 클래식 포멀 이미지에서는 무채색이나 베이지 계열의 컬러, 스포티 캐주얼 이미지에서는 원색 컬러, 고저스 에스닉 이미지에서는 뉴트럴 컬러가 사용되었다고 설명하였다.

Precedent Research of Muslim Fashion Colors

Park & Jang(2020)의 연구는 소셜 미디어를 통한 동남아시아 히자비스타의 패션 특성을 분석하였는데 베일과 의복의 색상 분석 결과 Bk가 가장 많이 분석된 색상이라 설명하였다. Bk 다음으로 베일은 R, YR, Y, PB, RP, W의 순으로 의복은 W, PB, R, Y, RP, YR의 순으로 나타났다고 분석하였다. 톤은 베일과 의복에서 Neutral 톤이 가장 많이 분석되었고 부드럽고 밝은 그러나 강하지 않은 색조가 착용되었다고 설명하였다. Yang et al.(2021)의 연구에서는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나 무슬림 여성 패션의 디자인 특성을 연구하였는데 가장 많이 나타난 패션 이미지의 색채 분석 결과 모던 이미지는 무채색의 블랙 앤 화이트 컬러와 함께 브라운, 레드 등의 포인트 컬러가 매치되었으며 베일과 의복의 색채 통일 스타일링 되었다고 설명하였다. 스포티브 이미지는 그린, 화이트, 베이지, 블랙, 블루 등의 컬러가 나타났으며, 로맨틱 이미지는 파스텔 계열의 핑크, 베이지 컬러가 분석되었고 베일과 의복의 유사색상 코디네이션되었다고 설명하였다.

선행연구를 종합해보면 무슬림 패션 색채에서는 Bk 컬러가 가장 많이 분석되었고 화이트, 베이지, 파스텔컬러 등이 나타났으며 톤은 Neutral 톤이 가장 많이 분석되어 무슬림 패션에서는 부드럽고 강하지 않은 톤 들이 많이 나타났음을 알 수있었다.


Ⅲ. 연구 절차 및 방법

1. 자료 수집 및 대상

본 연구의 실증 자료는 실제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을 대상으로 하여 스트리트 패션 사진을 촬영한 것으로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대상자의 동의하에 직접 촬영, 수집하였다. 스트리트 패션 촬영지는 인도네시아 제2의 도시이자 패션의 중심지인 서부자바의 반둥시이다. 연구대상은 20-30대 젊은 무슬림 여성으로 2020년 1월 14일부터 3월 2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촬영된 스트리트 패션 사진은 창원대학교 IRB심의를 통과하였으며 총 608장의 자료를 수집하고 중복된 사진과 색채 분별이 어려운 사진을 제외하고 머리부터 발끝까지의 의복과 액세서리 아이템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329장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스트리트 패션 사진의 디자인 분석은 선행연구(Yang et al., 2021)에서 제시하였고 본 연구에서는 색채 분석을 진행하고자 한다.

2. 절차 및 분석 방법

무슬림 여성들의 패션 색채 분석을 위해 현지에서 촬영된 스트리트 패션 사진 329장을 대상으로 상의, 하의, 원피스, 베일, 신발 아이템의 토털 패션 색채 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색상, 색조, 배색 이미지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선행연구(Hong, 2019; Jeon & Yum, 2021; Kim & Kim, 2020; Lee & Lim, 2014; Park & Jang, 2020)에서 많이 사용하는 Munsell Conversion, PCCS, IRI 배색 이미지 스케일, Adobe Color CC 등의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무슬림 여성 패션의 색채 분석은 스트리트 패션 사진의 아이템 중 상의, 하의, 원피스, 베일, 신발을 대상으로 각 아이템의 모든 색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1차적으로 유채색과 무채색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유채색은 컴퓨터 모니터 상에서 그래픽 프로그램 Adobe Photoshop의 아이드로퍼툴(Eyedropper tool)을 시용하여 RGB 값을 추출하였다. 이를 Munsell Conversion(CMC21)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H V/C 값으로 변환하여 먼셀의 10색상 체계로 색상 값을 분석하였다. 무채색은 시감분석으로 흰색, 회색, 검정색으로 나누어 분류하였다. 또한 색상 분석 시 한 아이템에서 컬러의 복합사용에 의해 문양이 있거나 두 가지 이상의 컬러가 섞여 있는 상태가 전체의 50% 이상을 차지할 때 멀티 컬러(Multi color) 계열로 분류하였다.

색조 분석은 PCCS를 기준으로 톤 맵에 위치를 선정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채색은 분석된 V/C 값을 PCCS 톤 맵에 대입시켜 12개의 톤으로 분류하고 무채색은 색상분석에서 파악된 무채색을 PCCS 기준 5개의 톤으로 분류하였다. 색조 분석 시 주조색을 분별할 수 없는(Multi color 계열) 이미지는 제외하고 분석하였다.

배색 이미지 스케일은 Adobe Color C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배색을 추출하였다. Adobe Color CC 프로그램은 Adobe 사에서 제공하는 색채 분석 도구로 프로그램 상 생성-테마 추출 툴을 사용하여 분석 대상 이미지의 색상 팔레트를 생성 할 수 있다.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 스트리트 패션 사진을 프로그램에 대입시켜 배색 팔레트를 추출하였다. 329장의 스트리트 패션에서 2장을 제외한 모든 사진에서 보여 지는 베일은 개성적인 패션 아이템으로 변모하며 무슬림 패션에 중요하게 여겨지므로 베일과 의복의 배색을 확인하였다. Adobe Color CC 프로그램 상 베일, 상의, 하의 순으로 배색을 위치시켜 스트리트 패션의 배색을 추출하였으며 전체 329장의 사진 중 상・하의 모두 멀티 컬러 계열로 주조색을 알아보기 힘들어 배색 추출이 어려운 3장을 제외하였으며 상・하의 중 하나만 멀티 컬러계열로 베일과 상의 또는 하의의 배색을 추출할 수 있는 사진은 포함시켜 총 326장을 대상으로 배색 추출 진행하였다. 추출된 배색은 IRI 배색 이미지 스케일에 배치시켜 컬러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스트리트 패션 색채는 실제 패션이 아닌 웹상 사진의 색채를 추출하였기 때문에 사진 촬영 시 현지의 날씨 및 장소 등의 요인으로 발생한 음영 차이 등이 발생함을 밝히며 이로 인해 사진 상 시각적으로 중간색이라고 판단되는 부분의 컬러를 추출하였다.


Ⅳ. 무슬림 여성들의 스트리트 패션 컬러 특성

1. 색상 분석

무슬림 여성들의 스트리트 패션의 색상은 유채색과 무채색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상의, 하의, 원피스, 베일, 신발 색상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총 1,435개 중 유채색은 524개 36.5%를 차지하고 무채색은 763개 53.1%로 나타나 무슬림 여성 스트리트 패션에서 유채색보다 무채색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 아이템에서 컬러가 복합 사용된 멀티 컬러는 148개 10.3%를 나타내었다. 유채색에서 PB가 149개 10.4%로 가장 많이 분석되었고 R이 114개 7.9%, YR이 108개 7.5%로 다음으로 많이 나타났다. 다음은 RP가 53개 3.7%, Y가 32개 2.2%를 나타내었다. 무채색은 Bk가 442개 30.8%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고 W가 223개 15.5%, Gr가 98개 6.8%의 순으로 나타났다<Table 2>.

Color Analysis Result (Multiple Choice)Frequency(%)

아이템별 분석에서 상의의 색상 분석은 Bk가 120개 27.4%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다음으로 멀티 컬러가 78개 17.8%, W가 76개 17.4%로 많이 나타나 상의의 절반 이상이 무채색과 멀티 컬러였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론 PB와 YR이 각 31개, 7.1%, R이 29개, 6.6%, Y와 RP가 14개, 3.2%의 분포를 보여 PB와 난색계의 색상이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하의의 색상은 PB가 91개 28.2%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이는 청바지의 착용으로 인한 결과로 보여 진다. 또한 Bk가 76개 23.5%로 많이 나타나 검정색 하의의 많은 빈도를 예측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W가 38개 11.8%, 멀티 컬러가 28개 8.7%, Gr이 20개 6.2%, R이 18개 5.6%, YR이 16개 5.0%의 순으로 분포를 보였다. 원피스는 전체 19개 중 Bk와 멀티 컬러가 각 4개 21.2%, PB가 3개 15.8%로 많이 나타났다.

베일의 색상 분석 결과는 Bk가 121개 37.0%로 독보적으로 많이 나타났다. 다음으론 R이 48개 14.7%, YR이 35개 10.7%로 난색 계열이 많이 분석되었고 W(28개, 8.6%), Gr(27개, 8.3%)의 무채색 계열과 RP(25개, 7.7.%), PB(18개 5.5%)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베일에서 많이 나타난 색상들이 의복의 상의와 하의에서 많이 분석된 색상들과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이는 베일과 의복 컬러의 통일성을 유추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선행연구(Yang et al., 2021)의 무슬림 여성 패션 스타일링 분석에서 베일과 의복 컬러의 통일성 분석 결과와 일치하는 것으로 시각적 스타일링 분석 결과를 과학적 색채 분석 결과로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즉 무슬림 여성 패션에서 베일과 의복의 컬러는 동일 색상 또는 유사 색상 배색으로 코디네이션 함을 알 수 있었다<Fig. 4>. 신발의 색상은 Bk가 121개 36.8%, W가 80개 24.3%로 강세를 보였다. 다음으론 Multi color가 34개 10.3%, Gr이 29개 8.8%를 보여 전반적으로 신발 색상에서 무채색과 Multi color 계열이 많이 나타났다. 유채색에서는 YR이 24개 7.3%, R이 17개 5.2%로 나타났다<Fig. 5> <Table 3>.

<Fig. 4>

Color Coordination of Veil and Clothing(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5>

Color Analysis of Clothing, Veil and Shoes

Representative Picture of Color Analysis by Item

무채색과 유채색을 합한 전체 아이템들의 토털 색상을 살펴보면 Bk가 가장 많이 나타났는데 이는 하의를 제외한 모든 아이템에서 Bk가 많이 나타난 결과로 보여 지며 무슬림 여성들의 패션에서 무채색의 검정색이 가장 많이 선호됨을 확인하였다. Bk의 가장 많은 빈도는 앞선 무슬림 패션 색채 선행연구 분석 결과와 일치되는 결과이다. 다음으로 W의 높은 결과는 신발과 상・하의의 많은 빈도수와 더운 기후로 인한 흰색 의복과 신발 선호의 영향으로 생각된다. 세 번째로 많이 나타난 PB는 하의에서 나타난 높은 빈도의 영향으로 무슬림 여성들이 하의에서 많이 착용한 청바지로 인한 결과로 생각된다. 또한 PB와 거의 비슷한 빈도를 보이는 멀티 컬러의 결과로 무슬림 여성 패션에서 컬러의 복합사용 된 아이템이 많이 착용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론 R, YR, GR, RP, Y, P 순으로 나타났고 GY, G, BG, B는 거의 유사하게 적은 분포를 보였다<Fig. 6>.

<Fig. 6>

Total Color Analysis

2. 색조 분석

무슬림 여성들의 패션 색조는 분석된 색상 전체 1,435개 중 멀티 컬러를 제외한 총 1,287개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유채색 계열은 524개 40.7%, 무채색 계열은 763개 59.3%로 무슬림 패션에서 무채색 계열 톤의 비중이 높게 분석되었다.

아이템별 색조 분석 결과 상의는 유채색 계열이 144개 40%, 무채색 계열이 216개 60%로 무채색 계열의 색조가 우세하게 나타났다. 유채색 계열에서는 soft톤이 26개 7.2%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고 다음으로 light grayish(22개, 6.1%), pale(18개, 5.0%), grayish(16개, 4.4%), light(13개, 3.6%) 톤 순으로 의복 상의에서 많이 보여졌다. 무채색 계열은 Black이 120개 33.3%, White가 76개 21.1%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light gray가 15개 4.2%, medium gray가 5개 1.4%를 차지하였다.

하의는 유채색 계열이 161개 54.6%, 무채색 계열이 134개 45.4%로 유채색 계열의 톤이 많이 나타났다. 유채색 계열에서는 soft가 27개 9,2%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다음으로 strong과 dull이 각각 21개 7.1%, dark grayish가 19개 6.4%, light grayish가 16개 5.4%, deep이 12개 4.1%의 순으로 많은 분포를 보였다. 무채색 계열은 Black이 76개 25.8%, White가 38개 12.9%로 많이 나타났고 medium gray > light gray > dark gray 순의 분포를 보였다.

원피스는 유채색 계열이 8개 53.3%, 무채색 계열이 7개 46.7%로 유채색이 우세한 결과를 보였으며, 유채색 계열에서는 soft, grayish, dark grayish가 각 2개 13.3.%로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무채색 계열에서는 Black(4개, 26.7%) > medium gray(2개, 13.3%) > White(1개, 6.7%) 순의 결과를 보였다.

베일은 유채색 계열이 146개 45.3%, 무채색 계열이 176개 54.7%로 무채색 계열이 많은 분포를 보였다. 유채색 계열에서는 light gray가 46개 14.3%로 가장 많이 나타난 톤이었고 다음으로 soft가 21개 6.5%, pale이 20개 6.2%, grayish가 15개 4.7%, dark grayish가 13개 4.0%의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무채색 계열에서는 Black이 121개 37.6%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고 다음으로 White > light gray > medium gray > dark gray 순의 분포로 나타났다. 신발은 유채색 계열이 65개 22%, 무채색 계열이 230개 78%로 무채색 계열이 강한 우세를 보였다. 유채색 계열의 톤에서는 pale(18개, 6.1%), light grayish(13개 4.4%), dull(9개, 3.1%)로 많이 보여 졌다. 무채색 계열에서는 black이 121개 41%로 가장 많이 나타났고 White가 80개 27.1%를 보였다. 다음으로 light gray > medium gray > dark gray 순의 분포를 보였다<Table 4>, <Fig. 7>.

Tone Analysis Result (Multiple Choice)Frequency(%)

<Fig. 7>

Tone Analysis of Clothing, Veil and Shoes

의복과 베일, 신발을 포함한 무슬림 여성 패션의 전체 색조에서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인 색조는 Black(442개, 34.3%)이었으며 White(223개 17.3%)가 두 번째를 차지했다. 다음으론 light grayish(98개 7.6%) > soft(81개, 6.3%) > pale(65개, 5.1%) 순으로 많이 분석되었고 다음으로 grayish = light gray > dull > dark grayish > strong > dark = medium gray > deep > light > dark gray> vivid > bright 순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이 무슬림 여성 패션에서는 무채색의 Black, White 계열과 유채색의 저채도, 중・고명도의 색조가 많이 분석되었고 이로써 무슬림 여성들은 톤 다운된 밝은 색조의 패션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Fig. 8>.

<Fig. 8>

Total Tone Analysis

3. 배색 이미지 스케일 분석

배색 이미지 스케일은 Adobe Color CC 프로그램 상 생성-테마 추출 툴을 사용하여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 스트리트 패션 배색을 추출하였다. 배색은 베일, 상의, 하의 순으로 추출하였으며 IRI 배색 이미지 스케일에 배색을 배치시켜 컬러 이미지를 나타내었다.

IRI 배색 이미지 스케일 분석 결과 Soft-Dynamic, Soft-Static, Hard-Dynamic, Hard-Static의 네 구역 중 무슬림 여성 패션의 배색은 Hard-Static, Soft-Static, Hard-Dynamic 순으로 많이 나타났고 Soft-Dynamic의 배색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Fig. 9>. 형용사들의 빈도를 살펴보면 ‘모던한/점잖은’이 138개(42.7%)로 가장 많았다. ‘모던함’과 ‘점잖은’의 형용사는 하나로 묶어 빈도수를 측정하였는데 서로 가까이 위치해 배색의 경계를 확실히 분류하기 어려워 함께 카운트 진행하였다. 선행연구(Yang et al., 2021)에서 무슬림 여성 패션 이미지 분석 결과 가장 많이 분석 된 이미지는 모던 이미지로 패션 이미지 분석과 색채 이미지 분석 결과가 일치함을 알 수 있었다. 다음으로 많이 나타난 형용사는 ‘고상한’으로 54개(16.7%), ‘우아한’ 47개(14.6%)로 Hard-Static 구역에 해당하는 형용사들이 많이 나타났다. 다음은 ‘은은한’ 22개(6.8%), ‘다이나믹한’ 21개(6.5%), ‘온화한’ 20개(6.2%), ‘내추럴한’ 11개(3.4%), ‘맑은’4개(1.2%), ‘화려한’ 4개(1.2%), ‘경쾌한’ 2개(0.6%)의 순으로 나타나 Soft-Static과 Hard-Dynamic 구역에 치우친 결과를 보였다<Table 5>.

<Fig. 9>

Color Scheme Image Analysis Result

Adjective Frequency Analysis

배색 이미지 스케일의 세로축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무슬림 여성 패션은 Soft 보다는 Hard에 치우친 배색의 결과를 보여준다. 이는 앞선 색상 분석 결과의 무채색의 많은 빈도수의 영향으로 사료되며 검정, 회색조의 배색의 영향으로 보여 진다. 가로축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Dynamic 보다는 Static에 치우친 결과를 볼 수 있는데 이는 앞선 색조 분석 결과의 저채도의 고・중명도의 색조가 많이 분석 된 결과와 연결하여 생각할 수 있을 것이다.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인 Hard-Static 구역의 대표 이미지와 배색 띠를 살펴보면 블랙, 그레이의 무채색 계열과 블루 컬러의 저채도, 저・중명도 계열의 톤다운 된 컬러의 배색을 살펴 볼 수 있다. Soft-Static 구역의 대표 이미지와 배색 띠는 화이트의 무채색과 퍼플, 베이지 컬러의 고명도, 저채도로 파스텔컬러의 배색이 주를 이루고 있다. Hard-Dynamic 구역의 대표 이미지와 배색 띠는 무채색의 블랙과 톤다운 된 블루 컬러, 고채도, 중명도의 레드, 옐로우의 배색을 볼 수 있으며 무채색과 포인트 컬러의 코디네이션을 볼 수 있다<Table 6>. 이상의 결과는 선행연구(Yang et al., 2021)에서 분석 된 무슬림 여성 패션 이미지로 많이 분석 된 모던 이미지, 스포티브 이미지, 로맨틱 이미지의 컬러와 일치 하는 것으로 패션 이미지 분석과 색채 이미지 분석의 일치된 결과를 보여주는 의미 있는 결과이다.

Representative Image and Color Scheme


Ⅴ. 결론

본 연구는 K 패션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는 인도네시아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무슬림 여성들의 패션 색채 특성을 연구하였다. 패션 색채 특성으로 스트리트 패션에 나타난 의복과 베일, 신발 아이템의 색상, 색조 분석과 배색이미지 분석을 통해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의 선호 색채를 파악하여 이슬람 패션 시장 진출 및 공략을 위한 유용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들의 스트리트 패션을 통해 살펴본 색상 분석 결과 유채색보다 무채색이 많이 나타났고 유채색에서는 PB, 무채색에서는 Bk가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다. 무채색과 유채색을 합한 전체 의복과 베일, 신발의 토털 색상에서는 Bk가 가장 많이 나타나 무슬림 여성들이 무채색의 검정색을 패션에서 가장 많이 선호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흰색 의복과 신발 선호로 인해 W도 높은 결과를 보였으며 무슬림 여성들이 많이 착용한 청바지 아이템으로 인한 PB의 높은 결과와 컬러의 복합사용 된 아이템의 영향인 Multi color도 많이 나타났다. 베일과 의복 색상의 유사한 결과로 무슬림 여성 패션에서 동일 색상 또는 유사 색상 배색 코디네이션이 선호됨을 확인하였다.

무슬림 여성 패션의 색조 분석에서는 무채색 계열이 유채색 계열보다 많이 나타났으며 가장 많은 분포를 보인 색조는 Black이었고 White가 두번째를 차지했다. 다음으론 light grayish> soft > pale 순으로 많이 분석되었고 다음으로 grayish = light gray > dull > dark grayish > strong > dark = medium gray > deep > light > dark gray> vivid > bright 순으로 분석되었다. 무슬림 여성 패션에서 색조는 무채색의 Black, White 계열과 유채색의 저채도, 중・고명도의 색조가 많이 분석되었고 이로써 무슬림 여성들은 무채색 계열과 톤 다운된 밝은 색조의 패션을 선호함을 알 수 있었다.

배색 이미지 분석 결과 무슬림 여성 패션의 배색은 Hard-Static, Soft-Static, Hard-Dynamic 순으로 많이 나타났고 Soft-Dynamic의 배색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형용사는 ‘모던한/점잖은’이 가장 많은 분포를 보였고 다음으로 ‘고상한’, ‘우아한’ 형용사가 많이 분석되어 Hard-Static 구역에 해당하는 형용사들이 많이 나타났다. 이외에 ‘은은한’, ‘다이나믹한’, ‘온화한’, ‘내추럴한’, ‘맑은’, ‘화려한’, ‘경쾌한’의 순의 분포를 보여 Soft-Static과 Hard-Dynamic 구역에 치우친 결과를 확인하였다. 무슬림 여성 패션의 배색 이미지는 Hard-Static 구역의 블랙, 그레이의 무채색 계열과 저채도, 저・중명도 계열의 톤다운 된 컬러의 배색이 대표적이며, Soft-Static 구역의 화이트의 무채색과 고명도, 저채도의 파스텔컬러의 배색, Hard-Dynamic 구역의 무채색의 블랙과 톤다운 된 고채도, 중명도의 포인트 컬러 코디네이션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무슬림 패션 색채 선행연구와 본 연구의 결과를 비교해보면 테헤란 스트리트 패션 속 히잡 색채 연구(Kim et al., 2020)의 무채색, 파스텔 계열 컬러, 베이지, 뉴트럴 컬러와 본 연구의 무채색 컬러, 톤 다운된 밝은 색조, 파스텔 컬러 등 많이 분석된 색채의 결과가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이미지에 있어 테헤란 스트리트 패션 속 히잡은 ‘네추럴 엘리건트’ 패션 이미지가 가장 많이 분석되었으나 인도네시아 무슬림 여성들의 스트리트 패션 배색 이미지는 ‘모던한/점잖은’ 형용사 이미지가 많이 나타나 차이를 보였다. 소셜 미디어를 통한 히자비스타의 패션 분석 연구(Park & Jang, 2020)와 비교해보면 두 연구에서 모두 Bk가 가장많이 나타난 색상으로 R, YR, PB 등의 색상이 많이 분석되어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반면 톤에 있어서 차이를 보였는데 히자비스타 패션의 톤은 Neutral 톤이 가장 많이 분석된 반면 무슬림 스트리트 패션에서는 Black과 White의 무채색 계열의 톤이 두드러졌다. 하지만 light grayish, soft, pale 등의 저채도의 밝은 색조가 많이 분석된 공통점도 확인하였다.

대중들의 선호 색채가 포함된 스트리트 패션 속 색채 분석은 패션 시장에서 유용한 정보원이다. 특히 무슬림 패션 색채 연구가 부족한 시점에서 인도네시아 현지 스트리트 패션 사진을 통해 분석된 무슬림 여성들의 선호 패션 색채는 한국 패션 기업의 무슬림 여성 패션 공략을 위한 유용한 기초 자료가 될 것이다. 이는 디자인 기획과 마케팅 수립에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의 경제 저변 확대와 해외시장 다변화를 위해 아세안(ASEAN) 국가들과의 협력을 강조한 정부의 신남방 정책에 부응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웨스트 자바 반둥시의 스트리트 패션에만 한정하여 연구한 결과로 확대 해석에는 신중해야 할 것이며, 사진자료 색채 추출 시 음영으로 인한 색채 분별의 한계와 소재로 인한 색채의 차이는 포함하지 않았음을 밝힌다.

Acknowledg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Grant funded by the korea Government(NRF-2019R1F1A1046037).

References

  • Bae, S. J. & Oh, H. A. (2009). A comparative analysis of street fashion styles in Korea and China, for successful launching into Chinese fashion market: Focusing on the Seoul and Dalia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3(4), 1-20.
  • Bae, S. J. (2011). An analysis on the color Trend of street fashion in Dalian, China(paper no. 2): Focused on 2010 winter, compare with the Chinese traditional color preference. Journal of Fashion Business, 15(5), 161-177.
  • Baek, J. H., Oh, H. A., & Bae, S. J. (2016). A comparative analysis of clothing color of women`s street fashion between Korea and China: Focused on Seoul, Beijing, Dalian, Qingdao and Nanjing on 2015 S/S.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0(2), 107-123. [https://doi.org/10.12940/jfb.2016.20.2.107]
  • Cho, J. H. (2019, October 28). “Great potential” Conjin One targets the Indonesian fashion market [“잠재력 크다” 콘진원, 인도네시아 패션 시장 공략]. The international textile fashion news. Retrieved from http://www.itnk.co.kr/news/articleView.html?idxno=61945
  • Choi, J. Y. & Kim, J. Y. (2019). A study on the Muslim fashion style in contemporary fashion collectio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3(5), 1-18.
  • Doopedia. (n.d.). Retrieved from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81711
  • Enkhmaa, T. & Lim, J. Y. (2014). Comparison of preference for color and fashion image between Korean and Mongolian female college students: Focusing on red and blu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design culture, 20(4), 367-381.
  • Hong, Y. J. (2019). Characteristics of male athleisure wear shown in street fash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9(4), 65-85. [https://doi.org/10.7233/jksc.2019.69.4.065]
  • Iricolor. (n.d.). Retrieved from http://www.iricolor.com
  • Je, N. N. & Choi, G. S. (2011). Comparative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favorite colors between Korea and Canada: Centering on general and special favorite colors.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5(4), 35-48. [https://doi.org/10.17289/jkscs.25.4.201111.35]
  • Je, N. N., Yoo, Y. S., & Choi, G. S. (2012). Analysis of the study pattern on preferred colors: Focusing on papers published 2000~2011.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6(2), 27-40. [https://doi.org/10.17289/jkscs.26.2.201205.27]
  • Jeon, S. M. & Yum, H. J. (2021). A study on color image of 1960s fashion illustrations in Antonio Lopez’s work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71(5), 137-155. [https://doi.org/10.7233/jksc.2021.71.5.137]
  • Jo, O. S., Nam, Y. S., Park, H. W., Oh, I. Y., & Park, E. J. (2005). Fashion and beauty stories to learn together [함께 알아보는 패션 그리고 뷰티 이야기]. Seoul, Republic of Korea: Kyungchunsa.
  • Ju, N., Lee, J., & Choo S. (2012). A study of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global street fashion: Focused on street fashion magazine from 2010 to 2011.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6(4), 107-121. [https://doi.org/10.17289/jkscs.26.4.201211.107]
  • Jung, J. W. & Bae, S. J. (2014). A comparative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Korean and Chinese women`s street fashion: Between Seoul and Beijing from 2012 S/S, 2014 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0(3), 581-594.
  • Kang, B. R. (2021, May 4). 21FW Seoul fashion week, overseas visits increase in the US, Japan, Indonesia, etc. [21FW 서울 패션 위크, 미국・일본・인도네시아 등 해외 관람 증가]. SINGLE LIST. Retrieved from http://www.slist.kr/news/articleView.html?idxno=248374
  • Kim, C. J. & Ro, M. K. (2018). Styling comparison of military look appeared on street fashion of Korea and overse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8(1),14-29. [https://doi.org/10.7233/jksc.2018.68.1.014]
  • Kim, H. S. (2017). An analysis of a strategy for the activation of Korean wave k-fashion.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9(3), 175-192.
  • Kim, H. S., Kim, H. J., & Na, H. S. (2020). A study on the hijab as a fashion item in the Tehran street.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4(2), 1-16.
  • Kim, H. Y., Shon, K. A., & Yeo, H. S. (2008). Color Color Color, Seoul, Republic of Korea: Yekyung.
  • Kim, J. A. (2020). A study on color preference characteristics of MZ generation women according to fashion style (Unpublished mater’s thesis). Ewha Women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 Kim, R. R. & Kim, Y. I. (2020). Color of fashion and handbag preferred by millennial Korean women according to daily situations & seas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70(5), 98-117. [https://doi.org/10.7233/jksc.2020.70.5.098]
  • Kim, Y. I., Han, E. J., & Kim, H. Y. (2006). Development of integrated color design system for fashion based on personal color image I: Focused on the personal color image and fashion image.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20(4), 69-79.
  • Kim, Y. I., Koh, A. R., & Hong, H. S. (2000). Fashion image segmentation of 20's female apparel market and apparel color preferen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24(1), 3-14.
  • Lee, K. H. & Lee, E. R. (2011). Fashion Design Plus Conception, Gyeonggi-do Paju, Republic of Korea: Kyomunsa.
  • Lee, M. S. & Lim, S. M. (2014). A comparative study on the color features and images of professional football uniforms in Korea and foreign leagu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3), 108-125. [https://doi.org/10.7233/jksc.2014.64.3.108]
  • Lee, M. S. (2012). A study on the fashion image of female politicians in Korea: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colors and color combination imag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8(4), 337-354.
  • Lee, S. M. & Koo, S. M. (2021). A study on fashion color preferences according to the fashion interest and lifestyle of the new silver generation.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5(5), 38-56.
  • Lee, Y. M. (2011). A study on the acceptance degree of overseas collections by Korea's knitted street fashion: with a focus on the 2011 s/s seaso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Knit Design, 9(1), 57-71.
  • Oh, H. A. & Bae, S. J. (2013). An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olor Trend of women`s street fashion: Focused on between Seoul and Dalian on 2011∼2012 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19(2), 294-305.
  • Oh, H. A. & Bae. S. J. (2019). An analysis on the transition of street fashion style in Harbin for targeting on Chinese fashion market: Focused on 2016~2018 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Design Culture, 25(4), 307-325. [https://doi.org/10.18208/ksdc.2019.25.4.307]
  • Oh, K. C. (2021, April 16). K-fashion, its influence in the Southeast Asian market is growing [k-패션, 동남아 시장 영향력 더 커진다]. Apparel News. Retriev ed from http://m.apparelnews.co.kr/news/news_view/?idx=189678?cat=CAT127
  • Park, H. H. (2017). A study on the guidance of children`s art through sensibility and symbol of color: Focusing on IRI image scale color sensibility scale. Bulletin of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18(3), 139-151.
  • Park, H. W. & Jang, S. W. (2020). Characteristics of hijabista fashion in southeast Asia according to social media: Focused on Indonesia and Malaysia. Journal of Fashion Business, 24(3), 51-68.
  • Park, J. H. & Chun, J. H. (2018). The characteristics of styling of a mix and match of an athleisure wear: Focused on street fashion. Korean Society of Fashion Design, 18(2), 55-72. [https://doi.org/10.18652/2018.18.2.4]
  • Shin, J. S. & Lee, S. Y. (2021, October 27). Indonesia content industry trends [인도네시아 콘텐츠 산업동향].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Retrieved from https://www.kocca.kr/cop/bbs/view/B0158950/1845880.do?menuNo=203781
  • Wallkillcolor. (n.d.). Retrieved from http://www.wallkillcolor.com/Munsell22/CMC%20Instruments.htm
  • Won, S. M. (2017). A study on prefer color scheme according to self personality recognition through IRI color system.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59(0), 310-320.
  • Yang, J. H., Setiawardhan, S. D., & Park, H. W.(2021). A study on fashion design characteristics of Indonesian muslim women through street fashion: Focused on Bandung city, West Jav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71(6), 19-36. [https://doi.org/10.7233/jksc.2021.71.6.019]

<Fig. 1>

<Fig. 1>
Munsell Conversion Program(Wallkillcolor, n.d.)

<Fig. 2>

<Fig. 2>
PCCS Tone(Doopedia, n.d.)

<Fig. 3>

<Fig. 3>
IRI Color Scheme Image Scale(Iricolor, n.d.)

<Fig. 4>

<Fig. 4>
Color Coordination of Veil and Clothing(Photographed by authors, 2020)

<Fig. 5>

<Fig. 5>
Color Analysis of Clothing, Veil and Shoes

<Fig. 6>

<Fig. 6>
Total Color Analysis

<Fig. 7>

<Fig. 7>
Tone Analysis of Clothing, Veil and Shoes

<Fig. 8>

<Fig. 8>
Total Tone Analysis

<Fig. 9>

<Fig. 9>
Color Scheme Image Analysis Result

<Table 1>

Precedent Research of Muslim Fashion Colors

Researcher Subject Content
Choi & Kim (2019) Analysis of muslim fashion in global fashion collection Bk was analyzed a lot, and W and various chromatic colors appeared.
Use a variety of colors or create a similar color scheme.
Various tones appear in similar proportions.
Kim et al. (2020) Hijab in Iran Tehran street fashion Romantic feminine image: pastel color.
Modern chic image: black or black & white.
Natural elegant image: beige color.
Classic formal image: achromatic or beige color.
Sporty casual image: primary color.
Gorgeous ethnic image: neutral color.
Park & Jang (2020) Hijabista fashion in social media Most analyzed by Bk in clothing and veils.
The veil is analyzed a lot in the order of R, YR, Y, PB, RP, W.
Clothing analyzed in the order W, PB, R, Y, RP, YR.
Neutral tones were analyzed the most for the tone of clothes and veils.
Yang et al. (2021) Muslim women's fashion design in street fashion Modern image: Point color coordination of achromatic black & white color, brown and red color. The color unity of the veil and clothing.
Sportive image: Colors such as green, white, beige, black, and blue are analyzed.
Romantic image: pastel pink, beige color analysis. Similar color coordination of veil and clothing.

<Table 2>

Color Analysis Result (Multiple Choice)Frequency(%)

Hue Top Bottom Onepiece Veil Shoes Total
Chromatic color R 29(6.6) 18(5.6) 2(10.5) 48(14.7) 17(5.2) 114(7.9)
YR 31(7.1) 16(5.0) 2(10.5) 35(10.7) 24(7.3) 108(7.5)
Y 14(3.2) 5(1.5) 1(5.3) 4(1.2) 8(2.4) 32(2.2)
GY 3(0.7) 7(2.2) 0 3(0.9) 1(0.3) 14(1.0)
G 3(0.7) 1(0.3) 0 2(0.6) 0 6(0.4)
BG 3(0.7) 4(1.2) 0 1(0.3) 1(0.3) 9(0.6)
B 5(1.1) 6(1.9) 0 1(0.3) 1(0.3) 13(0.9)
PB 31(7.1) 91(28.2) 3(15.8) 18(5.5) 6(1.8) 149(10.4)
P 11(2.5) 5(1.5) 0 9(2.8) 1(0.3) 26(1.8)
RP 14(3.2) 8(2.5) 0 25(7.7) 6(1.8) 53(3.7)
Total 144(46.4) 161(49.8) 8(42.1) 146(44.8) 65(19.8) 524(36.5)
Achromatic color W 76(17.4) 38(11.8) 1(5.3) 28(8.6) 80(24.3) 223(15.5)
Gr 20(4.6) 20(6.2) 2(10.5) 27(8.3) 29(8.8) 98(6.8)
Bk 120(27.4) 76(23.5) 4(21.1) 121(37.0) 121(36.8) 442(30.8)
Total 216(49.3) 134(41.5) 7(36.8) 176(54.0) 230(69.9) 763(53.1)
Multi 78(17.8) 28(8.7) 4(21.2) 4(1.2) 34(10.3) 148(10.3)
Total 438(100) 323(100) 19(100) 326(100) 329(100) 1435(100)

<Table 3>

Representative Picture of Color Analysis by Item

Item Representative Picture
(Photographed by authors, 2020)
Top
Bottom
Onepiece
Veil
Shoes

<Table 4>

Tone Analysis Result (Multiple Choice)Frequency(%)

Tone Top Bottom One-piece Veil Shoes Total
Chromatic color p 18(5.0) 9(3.1) 0 20(6.2) 18(6.1) 65(5.1)
lt 13(3.6) 4(1.4) 0 4(1.2) 3(1.0) 24(1.9)
b 6(1.7) 2(0.7) 0 0 1(0.3) 9(0.7)
v 4(1.1) 2(0.7) 0 2(0.6) 2(0.7) 10(0.8)
s 10(2.8) 21(7.1) 0 2(0.6) 2(0.7) 35(2.7)
sf 26(7.2) 27(9.2) 2(13.3) 21(6.5) 5(1.7) 81(6.3)
d 7(1.9) 21(7.1) 0 12(3.7) 9(3.1) 49(3.8)
dp 7(1.9) 12(4.1) 1(6.7) 3(0.9) 2(0.7) 25(1.9)
dk 9(2.5) 14(4.7) 0 8(2.5) 3(1.0) 34(2.6)
ltg 22(6.1) 16(5.4) 1(6.7) 46(14.3) 13(4.4) 98(7.6)
g 16(4.4) 14(4.7) 2(13.3) 15(4.7) 5(1.7) 52(4.0)
dkg 6(1.7) 19(6.4) 2(13.3) 13(4.0) 2(0.7) 42(3.3)
Total 144(40.0) 161(54.6) 8(53.3) 146(45.3) 65(22.0) 524(40.7)
Achromatic color W 76(21.1) 38(12.9) 1(6.7) 28(8.7) 80(27.1) 223(17.3)
ltGy 15(4.2) 7(2.4) 0 15(4.7) 15(5.1) 52(4.0)
mGy 5(1.4) 9(3.1) 2(13.3) 8(2.5) 10(3.4) 34(2.6)
dkGy 0 4(1.4) 0 4(1.2) 4(1.4) 12(0.9)
Bk 120(33.3) 76(25.8) 4(26.7) 121(37.6) 121(41.0) 442(34.3)
Total 216(60.0) 134(45.4) 7(46.7) 176(54.7) 230(78.0) 763(59.3)
Total 360(100) 295(100) 15(100) 322(100) 295(100) 1287(100)

<Table 5>

Adjective Frequency Analysis

Adjective Frequency Count Percent(%)
Modern / Decent 138 42.7
Graceful 54 16.7
Elegant 47 14.6
Delicate 22 6.8
Dynamic 21 6.5
Mild 20 6.2
Natural 11 3.4
Clean 4 1.2
Glossy 4 1.2
Cheerful 2 0.6
Total 323 100

<Table 6>

Representative Image and Color Scheme

Hard-Static Soft-Static Hard-Dynamic
(Photographed by authors,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