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Articl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71, No. 4, pp.109-125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Aug 2021
Received 22 Jul 2021 Revised 02 Aug 2021 Accepted 10 Aug 2021
DOI: https://doi.org/10.7233/jksc.2021.71.4.109

디자인 발상과정에서의 어휘와 디자인 사이의 관계 연구 : 클래식 이미지를 중심으로

김윤경
부산대학교 의류학과 강사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Vocabulary and Design in the Design Idea Process : Focusing on Classic Images
YoonKyoung Kim
Lecturer, Dept. of Clothing & Textiles, Pusan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YoonKyoung Kim, e-mail: kyk1007@hanmail.net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scale of desig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ssociative vocabulary, the idea design and the expression image for the ‘classic’ images. Seventy total questionnaires were ultimately used for analy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Many design ideas were made in the order of a dress, a combination of jacket and pants, and a combination of jacket and skirt.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ssociation vocabulary and design finds that vocabulary such as ‘handwork’, ‘Chanel’, and ‘tweed jacket’ have a correlation with the design of the combination of a jacket and skirt. The words ‘music’ and ‘piano’ are related to ‘one piece’.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sign and the expression image vocabulary, the setup style consisting of a jacket and pants combination and a jacket and skirt combination shows a high correlation with the vocabulary of ‘formal’, ‘tidy’, and ‘moderate’. In the resulting word cloud of the expression image vocabulary for the entire design, the main key words that appeared were ‘traditional’, ‘basic’, ‘steady’, ‘elegant’, and ‘formal’.

Keywords:

classic, design, design idea, vocabulary

키워드:

클래식, 디자인, 디자인 발상, 어휘

Ⅰ. 서론

디자인은 인간의 의식적인 노력으로 구체화되는 실체의 세계이다. 의미 있는 것을 실체화하기 위해서 의도적으로 노력해온 결과가 곧 디자인의 세계이다(Design’, n.d.). 디자인 행위는 그 자체가 불명확한 문제로 처음부터 완벽하게 기술될 수 없다. 상황에 따라서는 주관적인 해석을 요구하기도 하지만 디자인은 결코 무의식적, 맹목적 행위가 아니라 그 자체가 과정이며 이러한 과정에 의해 이미지와 아이디어가 가시적으로 실체화되는 것이 디자인의 본질이다. 디자인적 감각이 뛰어나 순간적이고 즉흥적으로 참신한 아이디어를 표현해내는 사람도 있으나 다수의 사람들은 그 과정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창의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은 모호하고 어려워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디자인 발상 프로세스에 관한 관심과 연구가 이어지고 있다.

디자인의 의미는 일상에서 언어가 끊임없이 여러 종류의 유사함과 겹쳐 사용되면서 의미가 선택되는 과정으로부터 생성된다(J. Lee, 2020). 예술 활동에 있어서 자아의 세부 영역에 대하여 커뮤니케이션하는 언어화 과정은 어려움이 존재한다(Han & Nah, 2016). 창작의 과정에 있어 대상에 대한 표현의 방법으로 언어를 통한 방법은 쉽지 않으며 이를 시각화시키는 방법 또한 직접적인 표현을 통해 구체화시키는 작업이 간단하게 생각될 수 없어 언어와 디자인 사이의 연관성을 통해 모호한 작업과정을 구체화시키는 노력이 필요하다.

추상적 개념을 구체적인 조형언어로 형상화시키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대상에 대한 기억과 관찰을 바탕으로 한 확장적 사고를 시작으로 핵심요소들을 추려내어 대상에 대한 개념을 정의하고 집약된 형태로 기호화하여 형태, 색채, 재료, 구조 등 디자인 언어로 표현하는 방법을 탐구한다. 또한 추상적 개념을 상징적, 은유적, 경험적 발상을 통해 조형언어로 표현하고 구체적인 대상으로 실체화시키는 형식차원과 의미차원의 발상이 고려되어진다(Kim & Kim, 2020). 기술과 과학의 발달로 전 세계 어디에서든 똑같은 상품을 만들 수 있는 제작 환경을 갖추었음에도 ‘여기에서만 만들 수 있는 것’이 적잖이 존재하는 까닭은 ‘언어와 사고’가 밀접한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Oki, 2016). 창의적인 발상을 내재된 이미지를 구체적인 디자인으로 시각화시키는 과정으로 본다면 주제에 대한 내면의 이미지와 디자인, 디자인을 통해 나타내고자 하는 표현 이미지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디자인 발상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의미 척도를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여겨진다.

주제어와 관련된 어휘의 전개와 확산에 관한 연구는 내재된 지식이나 경험들을 디자인 발상 과정에서 끌어내는 데 유용하여 이에 대한 연구(Han & Nah, 2016; Kim, 2014; Kim, 2017; Kim 2020)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오고 있으나 대표적인 어휘 추출로 그 범위를 제한하거나 연상 어휘 자체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언어로 표출한 내면의 지식과 감정을 디자인으로 시각화하고, 이러한 결과물에 대한 디자인적 특징과 이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와 이미지를 연결 지어 관계의 유의미를 살펴보는 것은 주제에 대한 디자인 발상 과정에서 오는 막연한 부담감을 덜어주고 구체적인 방향을 제시 해 줄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클래식(classic)’에 대한 언어와 시각화된 디자인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대표적인 패션 이미지로 시간과 시대를 초월하고 많은 디자이너의 창의적 발상에 근원이 되고 있는 클래식에 대한 연상 어휘와 발상 디자인, 디자인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 사이의 관련성을 찾아보고자 한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언어연상과 관련된 디자인 발상 연구와 패션에서의 클래식 이미지와 관련된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관련 연구의 동향을 살피고 새로운 연구방법과의 관련성과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결과에서는 발상 디자인의 디자인 특성을 살펴보고 연상 어휘와 발상 디자인, 표현 이미지 어휘 사이의 관련성을 살펴 패션에 있어 ‘클래식’이라는 주제에 대한 발상에 필요한 좀 더 구체적이고 명확한 디자인 의미 척도를 제시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배경

연상(association)은 어떤 대상에 대한 유사성과 인접성을 근거로 한 사물의 심성을 다른 사물에 투영해 새로운 심상을 불러일으킨다(Association’, 2021). 은유나 유추와 같은 전이적 특성의 연상 과정은 주제에 대한 확산적 사고를 유도하여 창의적 디자인 발상에 도움을 준다. 구체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는 언어와 시각 이미지 등의 도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언어 이미지는 의식 속에 축적된 감정적, 감성적 이미지가 의식 수준으로 올라와 개념화되는 것으로 다른 이미지 보다 표현과 기술이 자유로운 속성을 지닌다. 시각 이미지는 감성적인 이미지 전달에 있어 직감적, 동시적 파악이 가능하고 공간적 직관을 포함하고 있어 이해의 내용이 풍부하다(Jung & Park, 2016).

디자인 발상과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디자인 교육 과정에서 형태를 전체적으로 재인하는 상향처리방식이 형태를 부분적으로 재인하는 하향처리방식보다 좀 더 나은 과정과 성과를 보인다고 하였다(Han & Kim, 2018). 또한 시각적 자극물을 제시하고 여기에서 시각적 유추가 발생하여 최종 결과물을 만들어내는 과정에서 전문성이 클수록 표면적 유추에 비해 구조적 유추가 많이 일어난다고 하였다(Lee, 2018). 디자인 발상과 관련된 연구들은 제시된 자극물에 대해 시각적 유추로 결과물을 만들어나가는 과정에서의 특성을 분석하는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언어와 디자인과 관련된 연구들을 살펴보면, 한국의 문화정체성을 표현하는 이미지어를 선행문헌자료 분석을 통해 복식과 건축디자인에서 구체적 어휘로 제시한 연구(Kim, Kim, Kim, Kim, & Park, 2002)가 있으며 분노조절에 사용된 언어와 심상이미지의 관계 분석과 해석을 통해 공간 활용에 도움을 주는 디자인 코드를 제안한 연구(Park, Kim, & Seo, 2020) 등이 있다. 인간의 감성이 언어로 표현되고 이미지와 함께 디자인 요소로 해석되어 타당하고 객관화된 지표를 만들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광고 디자인 분야에서도 발상에 있어서 유사성, 근접성, 원인과 결과의 연상 원리를 적용하여 형태를 만들어나가는 것이 발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고 하였다(Han & Mok, 2018). 제품과 은유 이미지의 관련성이 높다고 인지한 경우에는 긍정적 정교화가 영향을 미치며, 낮다고 인지한 경우에는 부정적인 정교화가 영향을 더 미친다고 하였다(Park & Kim, 2016).

패션 디자인 발상 전개과정에서 유추에 의한 주제어 확장의 단계는 확산적 사고를 통해 가능한한 많은 아이디어가 펼쳐지고 세부적으로 전이되어 나가는 특징을 보인다. 일반적 지식을 포함하여 디자이너와 그의 작품특성과 같은 학습된 전문 지식과 관련된 어휘, 개인의 취향이나 기억 등 개인의 문화적 배경과 관련된 어휘, 미술이나 건축 같은 다른 예술 분야나 사회문화 현상과 관련된 어휘, 자연물이나 인공물 등과 같이 디자인 소스와 관련된 어휘가 나타나는 특성을 보인다(Kim, 2014)고 하였다. 이상의 연구에서 연상을 통해 나타나는 어휘와 디자인이 특정한 관계성을 가질 때 적합성과 합리성의 긍정적인 효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볼 수 있으며 발상 디자인과 어휘와의 관련성이 높게 지각될수록 디자인에 대한 평가가 긍정적이고 타당성 있는 결과를 가지게 된다 할 것이다.

클래식은 고전의·모범적인·전형적 등의 의미로, 본래는 고대 그리스・로마를 모범으로 하는 예술이나 문학을 말한다. 패션에 있어서는 고대 그리스・로마풍이나 그것을 모범으로 한 엠파이어 스타일 등과 전통·기본적·정통파의 뉘앙스를 갖는 시대를 초월해 이어져 온 변하지 않는 스타일이라는 두 가지 해석이 있다(Classic’, 1997). 클래식 디자인은 시대를 초월한 가치와 보편성을 가진 특정 스타일이 유행과 상관없이 오랫동안 지속되는 것을 의미하며 전통적이고 보수적이어서 정형화된 특징을 가지며 대표적인 의상으로 테일러드 슈트, 샤넬 슈트, 가디건, 진바지 등이 있다(Kim, 2012). 클래식 패션은 성숙된 취향의 느낌으로 유행보다는 자신의 스타일을 중요시 하는 보수적인 이미지를 추구하는 사람들에 의해 착용되는 스타일이며(Park, 2007) 긴 시간동안 애용되어 온 차림으로 기본적인, 정통적인, 전통적인을 키워드로 테일러드 슈트, 트렌치 코트, 샤넬 슈트 등의 아이템이 있다(Park, Lee, Yum, Choi, & Park, 2006). 클래식 스타일은 고대 그리스ㆍ로마의 스타일과 신고 전주의 엠파이어 스타일을 말하는 동시에 유행에 구애 받지 않는 변함없는 스타일을 말하며 현대패션에서는 유행을 따르지 않는 스타일로 다양하게 재창조되고 있다(Choi, 2010). 패션에서 클래식은 가장 고전적이고 전통적이며 유행에 상관없이 많은 디자이너에게 과거와 현재, 미래를 잇는 연결고리로서 창작의 모태가 되어오고 있다.

패션에 있어 클래식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의복 조형요소에 따른 클래식 이미지 분류를 위해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이미지 평가용어를 ‘클래식하다’, ‘보수적이다’, ‘기능적이다’, ‘남성적이다’, ‘전형적이다’, ‘이성적이다’, ‘베이식하다’, ‘멋있다’, ‘친숙하다’, ‘기하학적이다’, ‘성숙하다’, ‘중후하다’, ‘지적이다’, ‘품위있다’, ‘우아하다’, ‘전통적이다’, ‘고급스럽다’, ‘세련되다’, ‘고상하다’, ‘복고적이다’로 나누고 구성요인을 레트로클래식, 매니시클래식, 엘리건트클래식, 컨템포러리클래식으로 나누어 조형적 특성을 살펴본 연구(Lee, Park, & Kwon, 2009)가 있다. 이와 유사한 맥락에서 클래식 이미지와 감성 어휘 척도 개발을 위해 클래식 관련 선행연구와 단행본, 국내 인터넷 포털 사이트 등에서 클래식 관련 어휘를 수집 정리한 연구가 있다. ‘고급의’, ‘고상한’, ‘고전적인’, ‘규범적인’, ‘기본적인’, ‘까다로운’, ‘꾸준히 팔리는’, ‘단정한’, ‘대표적인’, ‘도시적인’, ‘따분한’, ‘매력적인’, ‘모던한’, ‘믿음있는’, ‘상류층의’, ‘세련된’, ‘세월이 가도 변함없는’, ‘심플한’, ‘어디에나 어울리는’, ‘엘리트의’, ‘오래된’, ‘위엄있는’, ‘유행을 타지 않는’, ‘전통적인’, ‘정돈된’, ‘지속적인’, ‘지적인’, ‘품위있는’, ‘편한’, ‘활동적인’으로 최종 30개의 어휘를 선정하고 클래식 감성 어휘의 요인을 기본성, 매력성, 전통성, 고풍성, 활동성으로 나누었다. 여기에 세대에 상관없이 가장 클래식 하다고 생각하는 이미지는 샤넬풍 투피스, 화이트 셔츠와 블랙 플레어스커트를 착용한 이미지로 샤넬 스타일과 여성스럽고 우아한, 고급스러운 느낌의 이미지를 가장 클래식하다고 평가하였다(Sang, Yoo, Park, & Lee, 2015).

여성복 컬렉션을 중심으로 클래식 스타일을 디자인 요소별로 그 특징을 살펴본 연구에서는 클래식 디자인은 시대를 초월한 시대적 가치와 보편성을 가진 특정 스타일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에 의해 꾸준히 입혀져 왔으며 전통적이고 보수적이 어서 정형화된 것이 특징이라고 하였다. 색상은 브라운계열 중심의 와인, 다크 그린, 겨자색, 흰색, 회색, 베이지색 등 뉴트럴한 색상이며 패턴은 남성용 테일러드 슈트에 많이 사용되는 글렌체크, 하운드투스, 타탄체크, 플레이드, 전통적인 스트라이프 등의 문양이나 물방울, 스트라이프 등의 기하학적 무늬가 많다고 하였다(Kim, 2012). 클래식을 대표하는 아이템인 테일러드 슈트에 대해서는 신뢰성과 실용성에 미적가치를 두는 절제성과 자유로운 감성, 섹슈얼리티 표현으로 패션과의 융합을 보여주는 양성성, 사회전반의 퓨전 현상에 기인한 일상적이고 비격식의 다목적성으로 미적 특성을 나눈 연구(Ham, 2003)도 있다.

최근에는 디자인 발상을 위한 사고 확장을 목적으로 어휘와 관련된 연구도 찾아 볼 수 있다. 클래식 이미지어에 대한 연상 어휘로 ‘슈트’, ‘고전적인’, ‘브라운’, ‘깔끔한’, ‘음악’, ‘전통의’, ‘샤넬’, ‘고급스러운’, ‘유행타지 않은’, ‘블랙’, ‘기본의’, ‘트위드 재킷’, ‘오래된’, ‘영국의’, ‘세련된’, ‘딱딱한’, ‘버버리’ 등이 많이 나타나며 이를 중심으로 내적 특성 및 의미구조를 살펴 ‘고전적 전통성’과 ‘슈트의 조형미’로 의미구조를 유형화한 연구(Kim, 2017)가 있다. 클래식 이미지어에 대한 연상 어휘 간의 연관성을 토대로 디자인 발상 차원을 ‘슈트’를 중심으로 한 ‘명품’, ‘단정한’, ‘구두’, ‘셔츠’, ‘재킷’을 하위요소로 하는 ‘mannish item’ 차원, ‘음악’, ‘피아노’, ‘바이올린’을 그룹으로 하는 ‘music’ 차원, ‘블랙’과 ‘화이트’, ‘그레이’의 무채색 컬러 중심과 속성의 ‘modern color’ 차원, ‘고전적인’을 중심으로 ‘오래된’, ‘드레스’, ‘변함없는’, ‘샤넬’, ‘트위드 재킷’, ‘체크’, ‘브라운’, ‘기본의’, ‘전통적인’을 그룹으로 한 ‘traditional classicality’ 차원으로 분류한 연구(Kim, 2020)가 있다.

이상의 연구들은 결과물에 대한 유형분석 및 디자인 분석이나 확산적 사고를 위해 언어적 측면에서 클래식 관련 어휘들의 특성을 살펴보고 있다. 언어로 표현된 내재된 추상적 개념들과 이를 바탕으로 직접적으로 산출된 결과물, 여기에 부여된 의미의 상호관련성을 살펴보는 것은 클래식 디자인에 대한 가장 객관적이고 타당한 의미와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데 적합하고 필요한 시도라 할 것이다.


Ⅲ. 연구의 내용 및 방법

본 연구는 시간성을 대표하는 패션 이미지 ‘클래식’을 주제어로 선정하였다. 실험지 구성은 총 3장으로 이루어졌다. 첫 번째 장은 ‘클래식’이라는 주제어를 중심에 제시하고 이에 대해 연상되는 단어를 자유롭게 기술하도록 하여 주제어에 대한 확산적 사고가 펼쳐질 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후 클래식에 대한 연상 어휘로 수집 정리하였다. 나머지 두 장에 대해서는 주제어에 대한 디자인 발상이 이루어졌다. 개인차에 따라 3∼4개 정도의 디자인 스케치가 이루어졌으며 최종적으로 가장 ‘클래식’ 주제어를 잘 표현한 디자인이라고 생각되는 것을 직접 선택하게 하였다. 최종 선택한 디자인에 대해 선택이유 즉 어떠한 표현 의도와 의미가 내포되어 있는지를 기술하게 하여 발상 디자인에 대한 표현 이미지 어휘로 수집 정리하였다. 창의적인 아이디어와 창의적인 진보는 당면한 문제에 대한 전문지식을 가지고 그 분야에 대한 책이나 수업을 통해 배운 학문이 중요한 역할을 하면서 유용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Lim, 2011; Sternberg & Lubart, 1995) 실험은 의류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의류학과 1, 2학년부터 졸업 작품 패션쇼를 준비 중인 3학년과 패션쇼를 마친 4학년을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실험 시간은 총 30분으로 하여 정해진 시간 내에 집중해서 어휘 발상과 디자인 발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회수된 실험지는 연상 어휘, 발상 디자인, 표현 이미지 어휘로 나누어 코딩하였다. 실험지는 총 79부가 회수되었으며 정리과정에서 불성실한 답변을 제외하고 최종 70부(여:56명, 남:14명)가 결과분석에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통계분석을 기반으로 내용분석을 병행하였다. 통계상담연구소의 전문가를 통해 연구 결과를 살펴보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통계기법과 이를 위한 코딩방법에 대해 자문을 구하고 데이터 정리가 이루어졌다. 통계처리와 결과에 대한 기본적인 해석 방법도 전문가의 도움으로 분석에 대한 적절성을 점검하였다. 발상 디자인에 대한 평가항목은 아이템, 실루엣, 무늬, 액세서리, 장식 특성 등 형태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나누고 정리하였다. 사진 분류 작업은 실무경력 20년 이상의 교육 전문가 1인의 감수를 거쳐 코딩하였다. 빈도분석을 통해 발상 디자인에 대한 특성을 살펴보았으며 연관성 분석(association analysis)을 통해 연상 어휘와 발상 디자인, 발상 디자인과 표현 이미지 어휘 사이의 관련 특성을 살펴보았다. 어휘는 항목이 많은 텍스트 형태의 비정형 데이터로 의미의 가중치 정도를 시각적이고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위해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워드 클라우드(word cloud) 기법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디자인에 대한 중심성 및 핵심 키워드를 시각적으로 파악하였다.


Ⅳ. 결과 및 고찰

1. 클래식 이미지에 대한 발상 디자인 특성

기호학적 측면에서 해석체에 해당되는 디자인 요소 중 형태가 다른 디자인 요소인 문양과 색채에 비해 표현이나 구성에 있어 적극적으로 많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Park et al., 2020). 본 연구에서는 클래식에 대한 디자인 발상 스케치 중 최종적으로 선택한 디자인에 대해 아이템, 실루엣, 무늬, 액세서리, 장식 특성 등 형태적인 측면에서 그 특징을 살펴보았으며 자세한 내용은 <Table 1>과 같다.

Idea Design Characteristics for Classic ImagesUnit; n(%)

아이템 스타일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원피스(27.1%), 재킷과 팬츠 조합(18.6%), 재킷과 스커트 조합(18.6%), 셔츠와 팬츠 조합(15.7%), 셔츠와 스커트 조합(10.0%), 코트(10.0%) 순으로 디자인 발상이 많이 이루어졌다. 단일 품목으로는 원피스 아이템이 가장 높은 가운데 재킷 중심의 아이템 디자인 발상이 눈에 띈다. 전체적인 실루엣은 사각형(78.6%), X자형(12.9), 삼각형(5.7%), 타원형(2.9%)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재킷과 팬츠, 재킷과 스커트 조합의 셋업 스타일과 일자형의 원피스, 직사각형 코트 디자인으로 사각형 실루엣이 많이 보였다. 이는 H라인이 중후하고 남성적인 매니시클래식 이미지를 표현하는데 효과적이라는 연구(Lee et al., 2009)와도 유사성을 보인다. 일자형의 원피스 이외에 허리를 강조하고 아래로 갈수록 퍼지는 X자형, 삼각형이 그 뒤를 잇고 있다. 무늬의 경우 체크(18.6%)가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며 액세서리의 경우 구두와 부츠(27.1%), 벨트(20.0%), 목걸이와 귀걸이(7.1%), 넥타이(5.7%) 순으로 나타났다. 체크의 경우 재킷과 팬츠 조합, 재킷과 스커트 조합의 셋업 스타일 디자인에서 대부분 나타났다. 이는 남성용 테일러드 슈트에 많이 사용되는 다양한 형태의 체크가 클래식 스타일을 특징짓는 디자인 요소라고 한 연구(Kim, 2012)와도 맥락적으로 유사하다. 발상 디자인의 세부적인 장식 요소를 살펴본 결과 단추(38.6%), 프릴이나 러플(10.0%), 포켓(10.0%), 기타(5.6%) 순으로 나타났다. 원피스 디자인에는 곡선적인 느낌의 프릴이나 러플 디테일 사용이 부각되었으며 재킷과 팬츠 조합, 재킷과 스커트 조합의 셋업과 셔츠와 팬츠, 코트 디자인에는 단추나 포켓 등의 직선적인 느낌의 장식요소가 많이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2. 연상 어휘와 발상 디자인 사이의 관계

클래식 이미지에 대한 연상 어휘와 발상 디자인 사이의 관계를 살펴보는 것은 디자인을 특징짓고 의미를 규정하는데 좀 더 객관적인 척도를 만들어 줄 수 있다. 연관성 분석에서 지지도(support), 신뢰도(confidence), 향상도(lift)는 LHS(left hand side)와 RHS(right hand side) 항목 사이의 연관성 규칙을 측정하는 평가기준으로 항목을 연결 지어 사고하는데 의미 있는 규칙이 작용함을 평가하게 된다.

평가 항목은 연상 어휘와 발상 디자인의 아이템 스타일을 기준으로 최대 2개, 신뢰도 .300 이상인 규칙만이 추출되도록 하였다. 향상도는 모두 1.000 이상으로 LHS와 RHS 사이의 관계가 우연이 아니라 서로 간에 우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정리한 내용은 <Table 2>와 같다.

Analysis of Association Between Associative Vocabulary and Design

연상 어휘와 발상 디자인과의 관련성을 상위권에 위치한 규칙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상 어휘 ‘수작업’을 떠올리면서 재킷과 스커트 조합의 ‘셋업 2’의 디자인을 전개할 가능성(신뢰도=1.000)과 ‘화려한’의 연상 어휘를 떠올리면서 ‘원피스’ 디자인을 전개할 가능성(신뢰도=1.000)은 100%인 것으로 나타났다. ‘서양복’을 떠올리면서 ‘원피스’를 디자인으로 떠올릴 가능성(신뢰도=.800)이 높게 나타났으며, ‘무난한’이라는 연상 어휘를 떠올리면서 재킷과 스커트 조합의 ‘셋업 2’가 발상 디자인으로 전개될 가능성(신뢰도=.750), ‘신사’를 떠올리면서 재킷과 팬츠 조합의 ‘셋업 1’ 디자인으로 전개될 가능성(신뢰도=.750), ‘테일러링’을 떠올렸을 때 재킷과 스커트 조합의 ‘셋업 2’가 전개될 가능성(신뢰도=.750)이 높게 나타났다.

지지도의 측면에서 살펴보면 ‘고급스러운’ 연상 어휘를 떠올리면서 ‘원피스’를 함께 디자인 한 경우는 10건(지지도=.100), ‘샤넬’을 연상 어휘로 떠올리면서 재킷과 스커트 조합의 ‘셋업 2’ 디자인을 한 경우가 11건(지지도=.114)으로 나타났다. ‘어두운’을 떠올리면서 ‘원피스’ 디자인을 한 경우가 10건(지지도=.100), ‘우아한’을 연상 어휘로 떠올리면서 ‘원피스’를 함께 디자인 한 경우가 10건(지지도=.100), ‘음악’을 떠올리면서 ‘원피스’를 함께 디자인 한 경우가 11건(지지도=.114), ‘피아노’를 떠올리면서 ‘원피스’ 디자인으로 전개가 이어진 경우는 8건(지지도=.086), ‘트위드 재킷’을 연상 어휘로 떠올리면서 재킷과 스커트 조합의 ‘셋업 2’ 디자인으로 연결된 경우가 7건(지지도=.071)으로 나타났다. 클래식 이미지에 대해 ‘수작업’, ‘샤넬’, ‘트위드 재킷’, ‘테일러링’, ‘무난한’의 연상 어휘는 재킷과 스커트 조합의 ‘셋업 2’ 디자인으로 연결되는 긴밀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의적인 아이디어는 당면한 문제에 대한 상당 수준의 전문지식을 가져야 하며 그로부터 유용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Lim, 2011). ‘샤넬’, ‘트위드 재킷’과 같이 특정 디자이너와 디자이너의 시그니처 디자인에 대한 어휘가 연상되어 디자인 발상으로까지 연결되는 것은 주제어에 대한 추상적 요소를 구체화시키기 위한 직접적이고 가장 확실한 방법으로 주제어에 대한 이미지로 각인된 대표 디자이너와 그의 작품 특성을 연결고리로 선택한다는 연구(Kim, 2014)와도 유사한 맥락을 가진다 할 것이다. ‘음악’, ‘피아노’와 같이 음악을 대표하는 키워드는 ‘원피스’ 디자인과 관계성이 높게 나타났다. 클래식에 대한 어휘 발상에서 높은 빈도를 보이는 ‘음악’(Kim, 2020)과 관련된 연상 어휘들은 디자인에서는 고전적인 느낌을 표현할 수 있는 원피스 아이템과 연결되어 발상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여 진다.

3. 발상 디자인과 표현 이미지 어휘와의 관계

디자인 발상을 통해 최종 선택된 디자인과 디자인에 대한 표현 의도와 내포된 의미를 나타내는 표현 이미지 어휘와의 관계를 연관성 분석을 통해 살펴보았다. 평가 항목은 발상 디자인과 표현 이미지 어휘로 최대 4개로 하였으며 신뢰도 .300 이상인 규칙만이 추출되도록 하였다. 향상도는 모두 1.000 이상으로 LHS와 RHS 사이의 관계가 우연이 아니라 서로 간에 우수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를 정리한 내용은 <Table 3>과 같다.

Analysis of Association Between Design and Expression Image Vocabulary

발상 디자인과 표현 이미지 어휘 사이의 관련성을 상위권에 위치한 규칙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재킷과 팬츠 조합의 셋업 1과 재킷과 스커트 조합의 셋업 2를 합친 셋업에 대하여 ‘셋업’을 그리고 ‘단정한’, ‘무난한’을 떠올렸을 때 ‘격식의’를 함께 떠올릴 경우가 100%(신뢰도=1.000)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업’을 그리고 ‘무난한’을 떠올릴 경우 ‘격식의’를 함께 떠올릴 가능성(신뢰도=1.000), ‘셋업’을 그리고 ‘격식의’, ‘단정한’을 떠올릴 경우 ‘무난한’을 함께 떠올릴 가능성(신뢰도=1.000), ‘셋업’을 그리고 ‘격식의’를 떠올릴 때 ‘무난한’을 함께 떠올릴 가능성(신뢰도=1.000)이 100%로 서로 높은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셋업을 그리고 ‘격식의’, ‘무난한’을 떠올릴 때 ‘단정한’을 떠올릴 가능성(신뢰도=1.000), 셋업을 그리고 ‘격식의’를 떠올릴 때 ‘단정한’을 함께 떠올릴 가능성(신뢰도=1.000), 셋업을 그리고 ‘무난한’을 떠올릴 때 ‘단정한’을 함께 떠올릴 가능성(신뢰도=1.000)도 높게 나타났다. 이는 LHS와 RHS를 각각 따로 떠올릴 때 보다 동시에 떠올릴 비율이 14배(향상도=14.000)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재킷과 팬츠, 재킷과 스커트로 구성된 셋업 디자인은 ‘격식의’, ‘단정한’, ‘무난한’의 어휘와 서로 유기적으로 높은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세트로 구성된 클래식 디자인을 평가하는 구체적인 의미 척도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원피스’를 그리고 ‘전통의’를 선택한 경우 ‘귀족적인’을 함께 선택할 가능성(신뢰도=.667)과, ‘원피스’를 그리고 ‘중세의’를 떠올릴 때 ‘우아한’을 함께 떠올릴 가능성(신뢰도=.667)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원피스’를 그리고 ‘귀족적인’을 떠올릴 때 ‘롱’을 함께 떠올릴 가능성과 ‘원피스’를 그리고 ‘롱’을 떠올릴 때 ‘귀족적인’을 함께 떠올릴 가능성(신뢰도=.500)은 50%로 동일하게 나타났다. ‘원피스’를 그리고 ‘귀족적인’을 떠올릴 때 ‘우아한’을 함께 떠올릴 가능성(신뢰도=.500)이 ‘원피스’를 그리고 ‘우아한’을 떠올릴 때 ‘귀족적인’을 함께 떠올릴 가능성(신뢰도=.400)보다 높게 나타났다.

코트와 표현 이미지 어휘 사이의 연관성을 살펴 본 결과 ‘코트’를 그릴 때 ‘꾸준한’을 함께 떠올릴 가능성(신뢰도=.429)이 있으며 이는 각각의 비율대비 두 가지가 동시에 일어나는 비율이 6배(향상도=6.000)가 높게 나타났다. 클래식에 있어 코트는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한결같음의 의미인 ‘꾸준한’이 의미 있는 평가 어휘로 생각해 볼 수 있다.

표현 이미지 어휘 사이의 연관성은 <Table 4>와 같으며 신뢰도를 중심으로 상위권에 위치한 규칙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격식의’와 ‘단정한’을 떠올리면서 ‘무난한’을 같이 떠올리는 가능성과 ‘격식의’와 ‘무난한’을 떠올리면서 ‘단정한’을 같이 떠올리는 가능성, ‘단정한’과 ‘무난한’을 떠올리면서 ‘격식의’를 같이 떠올리는 가능성은 100%(신뢰도=1.000)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격식의’, ‘무난한’, ‘단정한’은 클래식 디자인 발상에 필요한 중요한 이미지 어휘로 살펴볼 수 있다. ‘기본의’와 ‘심플한’을 떠올리면서 ‘피티드’를 같이 떠올리는 가능성과 ‘심플한’과 ‘피티드’를 떠올리면서 ‘기본의’를 같이 떠올릴 가능성(신뢰도=1.000)이 높게 나타났으며 ‘기본의’와 ‘피티드’를 떠올리면서 ‘심플한’이 같이 연관되어 나타날 경우(신뢰도=.667)와 ‘피티드’를 떠올릴 때 ‘기본의’를 함께 떠올릴 경우(신뢰도=.600)도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nalysis of Association Between Expressive Image Vocabulary

‘남성적인’을 떠올릴 때 ‘중후한’이 같이 연관되어 나타날 경우(신뢰도=1.000)는 반대로 ‘중후한’을 떠올리면서 ‘남성적인’을 같이 떠올리는 가능성(신뢰도=.500)보다 높게 나타났다. ‘뷔스티에’를 떠올릴 때 ‘중세의’를 같이 떠올릴 가능성(신뢰도=1.000)은 ‘중세의’를 떠올리면서 ‘뷔스티에’를 떠올릴 가능성(신뢰도=.400)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각을 떠올리는 비율 대비 두 가지가 동시에 일어나는 비율이 14배(향상도=14.000) 높아 관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발상 디자인의 중심 의미

그림이나 영상, 문서처럼 형태와 구조가 다른 구조화 되지 않은 데이터를 비정형 데이터라 하며 워드 클라우드 기법은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는 대표적인 방법이다. 비정형 데이터로부터 통계적인 의미가 있는 개념이나 특성을 추출하기 위해 이들 간의 패턴이나 추세 등의 고품질 정보를 끌어내는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을 이용한 워드 클라우드 기법은 출현빈도를 기준으로 시각화하여 비정형 데이터를 분석한다(Lee, 2020). 발상 디자인에 대한 중심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표현 이미지 어휘에 대해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실시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을 이용한 워드 클라우드 기법은 최종 디자인에 담긴 의도나 의미를 표현한 이미지 어휘와 같은 비정형 데이터에 대해 디자인을 설명하는 의미의 가중치 정도를 시각적 직관적으로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글자의 폰트가 클수록 빈도수가 높으며 중심성이 높은 관계로 해석할 수 있다.

발상 디자인과 표현 이미지 어휘 52개에 대한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실시하여 디자인 아이템에 대한 중심 의미를 살펴보았다. 발상 디자인 전체에 대한 표현 이미지 어휘의 워드 클라우드 결과는 <Fig. 1>과 같다. ‘전통의’, ‘기본의’, ‘꾸준한’, ‘우아한’, ‘격식의’, ‘깔끔한’, ‘단정한’, ‘심플한’. ‘피티드’, ‘롱’, ‘중후한’의 순으로 중심 키워드가 나타났다. 재킷과 팬츠 조합의 셋업 1과 재킷과 스커트 조합의 셋업 2를 합친 디자인에 대한 워드 클라우드 결과, ‘전통의’, ‘단정한’, ‘격식의’, ‘균형’, ‘기본의’, ‘깔끔한’, ‘무난한’, ‘심플한’의 순으로 중심 키워드가 나타났다<Fig. 2>. 재킷과 팬츠 조합의 셋업 1에 대한 워드 클라우드 결과는 ‘균형’, ‘깔끔한’, ‘전통의’ 순으로 중심 키워드가 나타났으며<Fig. 3> 재킷과 스커트 조합의 셋업 2의 경우는 ‘전통의’, ‘단정한’, ‘격식의’ 순으로 중심 이미지가 구성되었다<Fig. 4>. 재킷을 중심으로 팬츠와 스커트 조합에 따라 전체적인 디자인 밸런스와 스타일 느낌 등 관심과 중요도에 있어 미세한 차이를 살펴볼 수 있다.

<Fig. 1>

Word Clouds of Expressive Image Vocabulary for Total Design

<Fig. 2>

Word Clouds of Expressive Image Vocabulary for Set up

<Fig. 3>

Word Clouds of Expressive Image Vocabulary for Set up 1

<Fig. 4>

Word Clouds of Expressive Image Vocabulary for Set up 2

원피스 디자인의 경우 ‘우아한’, ‘롱’, ‘귀족적인’, ‘고급스러운’, ‘심플한’, ‘전통의’, ‘중후한’, ‘피티드’ 순으로 중심 키워드가 나타났다<Fig. 5>. 원피스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클래식 이미지는 길이가 긴 심플한 디자인을 통해 우아하고 귀족적인 고급스러움을 표현하는데 관심도가 집중됨을 알 수 있다.

<Fig. 5>

Word Clouds of Expressive Image Vocabulary for One piece

‘전통(tradition)’의 사전적 의미를 살펴보면 습속(習俗)이 전대(前代)로부터 후대(後代)로 전해지는 것으로 시간적·공간적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단순한 습속만이 아니라 한 세대로부터 다음 세대로 전해지는 정신적·문화적인 것을 가리킨다(Tradition’, 2020). 또한 같은 문화유산이라 하더라도 현재의 생활에서 볼 때 어떤 주관적인 가치 판단을 기초로 하여 파악된 것으로 그 시대 사람들의 주관적인 가치판단에 의하여 재평가가 전통의 기본이 된다(Tradition’, n.d.).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통해 살펴본 클래식 이미지에 대한 디자인의 가장 중심적 의미는 ‘전통의’로 나타났다. 과거로부터 이어져 오면서 그 시대의 가치 판단이나 디자인의 미적 기준에 의해 변형되어 해석될 수 있는 가장 기본이 되는 것을 담고 있다고 할 수 있어 디자인에 대해 중요 의미를 부여한다 할 것이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클래식’에 대한 디자인 발상 과정에서의 언어와 디자인 사이의 의미 관계 척도를 정리한 것은 <Table 5>와 같다. 클래식에 대한 대표 발상 디자인은 Adobe Illustrator 2021로 도식화 작업하였으며 빈도분석과 연관성 분석을 통해 의미 있는 관계가 도출 된 대표 아이템 스타일인 셋업 1(재킷과 팬츠 조합), 셋업 2(재킷과 스커트 조합), 원피스에 한하여 정리하였다.

Measure of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Design for Classic


Ⅴ. 결론

본 연구는 ‘클래식’에 대한 연상 어휘와 발상 디자인, 그리고 최종 선택된 디자인에 대한 표현 이미지 어휘 사이의 관련성을 살펴 클래식 디자인을 평가하는 중요한 의미 척도와 클래식 디자인 발상에 필요한 핵심 키워드를 추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주제어 ‘클래식’에 대해 마인드 맵의 형태로 연상 어휘를 전개하고 이어서 이루어진 디자인 발상과 최종 선택된 디자인에 대한 발상 의도를 기술하게 하여 표현 이미지 어휘로 정리하였다. 실험은 의류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으며 최종 70부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결과분석은 통계분석(빈도 분석, 연관성 분석,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바탕으로 내용분석이 함께 이루어졌다.

첫째, 디자인 발상을 통해 최종 선정된 디자인에 대해 아이템, 실루엣, 무늬, 액세서리, 장식 등 형태적 측면에서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이템 스타일을 중심으로 살펴보면 원피스, 재킷과 팬츠 조합과 재킷과 스커트 조합의 셋업 순으로 디자인 발상이 많이 이루어졌다. 전체적인 실루엣은 사각형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으며 무늬는 체크가 많이 나타났다. 액세서리의 경우는 구두와 부츠, 벨트를 통한 스타일링이 많이 나타났고 세부 장식은 단추, 프릴이나 러플, 포켓 순으로 많이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클래식 이미지를 주제로 한 디자인 발상에는 원피스와 재킷 중심의 셋업이 중심 디자인으로 사각형 실루엣에 프릴이나 러플로 우아한 느낌을, 단추나 포켓으로 단정하고 견고한 느낌을 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연상 어휘와 발상 디자인 사이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수작업’, ‘샤넬’, ‘트위드 재킷’, ‘테일러링’, ‘무난한’의 연상 어휘는 재킷과 스커트 조합의 ‘셋업 2’ 디자인 발상으로 이어지는 긴밀한 관계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악’, ‘피아노’와 같은 연상 어휘는 ‘원피스’ 디자인 발상으로 이어지는 연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킷과 스커트 조합의 셋업 2에 대한 결과는 클래식 이미지에 대한 세대별 선호도 분석에서 연령에 상관없이 가장 클래식 하다고 생각하는 이미지가 샤넬풍 투피스로, 지속적으로 이어져 오고 있는 샤넬 스타일과 여성스럽고 우아한, 고급스러운 느낌의 이미지를 가장 클래식하다고 선정한 연구(Sang et al., 2015)와 맥락적으로 유사하다 할 것이다.

발상 디자인과 표현 이미지 어휘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재킷과 팬츠, 재킷과 스커트 조합의 셋업 디자인은 ‘격식의’, ‘단정한’, ‘무난한’의 어휘와 서로 유기적으로 높은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클래식에 대한 디자인 발상에서 격식을 갖춘 단정하고 무난한 이미지를 부각시키기 위해서는 셋업 디자인 중심의 발상이 효과적일 것이다. 원피스 디자인에 대해서는 ‘전통의’와 ‘귀족적인’을, ‘중세의’와 ‘우아한’을, ‘귀족적인’과 ‘롱’을, ‘귀족적인’과 ‘우아한’을 함께 떠올릴 관계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클래식 이미지에 대한 디자인 발상에 있어 고전적인 느낌을 강조하고자 할 때는 길이가 긴 원피스 디자인이 효과적일 것이다. 표현 이미지 어휘 사이의 연관 관계를 살펴본 결과, ‘격식의’-‘무난한’-‘단정한’ 사이와 ‘기본의’-‘심플한’-‘피티드’ 사이에는 서로 유기적인 연관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나 클래식 이미지에 대한 디자인 발상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디자인의 내적 의미 사이의 긴밀한 관련성을 살펴볼 수 있다.

셋째, 발상 디자인에 대한 중심 의미를 살펴보기 위해 워드 클라우드 기법을 실시하였다. 디자인 전체에 대한 표현 이미지 어휘의 워드 클라우드 결과, ‘전통의’, ‘기본의’, ‘꾸준한’, ‘우아한’, ‘격식의’, ‘깔끔한’, ‘단정한’, ‘심플한’. ‘피티드’, ‘롱’, ‘중후한’의 순으로 중심 키워드가 나타났다. 셋업 디자인 전체에 대해서는 ‘전통의’, ‘단정한’, ‘격식의’ 순으로 재킷과 팬츠 조합의 셋업 1에 대해서는 ‘균형’, ‘깔끔한’, ‘전통의’ 순으로, 재킷과 스커트 조합의 셋업 2에 대해서는 ‘전통의’, ‘단정한’, ‘격식의’ 순으로 중심 의미가 나타났다. 원피스에 대해서는 ‘우아한’, ‘롱’, ‘귀족적인’, ‘고급스러운’ 순으로 중심 키워드가 나타났다. 재킷 중심의 셋업 디자인은 기본적인 전통성을 바탕으로 재킷을 통해 형성되는 정형화된 이미지나 의미가 상대적으로 부각되었다. 셋업 디자인의 경우는 클래식 감성어휘에 대한 연구에서 고전적 클래식과 베이직 클래식과 관련된 어휘들과(Sang et al., 2015) 그 의미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원피스의 경우 클래식 이미지에 대한 연상어휘를 통해 발상차원을 추출한 연구에서(Kim, 2020) ‘우아한’과 ‘고급스러운’이 별도의 그룹을 형성하는 네트워크 그래프를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어휘들이 위의 결과를 통해 클래식을 표현하는 가장 이상적인 아이템 디자인으로 원피스와 연결 지어 볼 수 있을 것이다.

이상은 주제어 ‘클래식’에 대한 디자인 발상의 과정에서 어휘와 디자인 사이의 유기적인 관계성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데이터의 양적 증대를 통한 추가 결과의 가능성이 있으므로 확대해석에는 신중을 기해야 할 것이다. 추후 관련 연구에는 비전공자 집단을 포함함으로써 주제 발상에 대한 사고의 영역을 확장하고 형태적 측면뿐만 아니라 컬러와 소재 부분의 분석이 좀 더 구체화될 수 있도록 보완되어야 할 것이다. 디자인 발상에 있어 시각적 대상에 대한 평가 연구가 아닌 발상의 과정에서 일어나는 언어와 디자인과의 관계에 대해 통계적 분석을 바탕으로 좀 더 객관화되고 명확한 디자인의 방향과 의미의 척도를 제시하였다는데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References

  • Association. (2021, February 22). In Wikipedia online. Retrieved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C%97%B0%EC%83%81
  • Choi, J. Y. (2010). Modern application of classic fashion style: Focusing on the drapery of Madeleine Vionne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 Classic. (1997, August 25). In NAVER knowledge encyclopedia online. Retrieved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87208&cid=50345&categoryId=50345
  • Design. (n.d.). In doopedia online. Retrieved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086152&cid=40942&categoryId=33074
  • Ham, Y. J. (2003).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women’s classic tailored suits in modern fash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Costume, 53(5), 101-115.
  • Han, H. & Kim, J. B. (2018). A study on the process of design thinking education using pattern recognition. Journal of Cultural Product & Design, 55, 175-184. [https://doi.org/10.18555/kicpd.2018.55.16]
  • Han, H. & Mok, J. (2018). A study on the concept education of advertising design with association principle: Focus on association of ideas & visual percep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Design, 65(0), 197-208. [https://doi.org/10.25111/jcd.2018.65.15]
  • Han, J. & Nah, K. (2016). A study of self-image languages as a self-expression tool. Journal of Korea Society of Color Studies, 30(1), 37-46. [https://doi.org/10.17289/jkscs.30.1.201602.37]
  • Jung, H. J. & Park, K. J. (2016). A study on the design image access method through the complex perception of the auditory and visual: Focused on classical music and character. The Korean Society of Science & Art, 24, 411-425. [https://doi.org/10.17548/ksaf.2016.06.24.411]
  • Kim, H. Y. & Kim, H. R. (2020). A study on the education of design thinking stage for forming abstract concepts into the design: Focused on educational cases and classification of types.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21(6), 149-160. [https://doi.org/10.47294/KSBDA.21.6.12]
  • Kim, J. S. (2012). Analysis of classic style in modern fashion. Journal Korea Society of Visual Design Forum, 36, 412-432.
  • Kim, Y. K. (2014). Study on characteristics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fashion design thinking through the lexic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4(2), 113-125. [https://doi.org/10.7233/jksc.2014.64.2.113]
  • Kim, Y. K. (2017). Study on classification of associated words of fashion image words through analogical transfer: Focused on the image words of feminine, mannish, classic and avant-gard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7(5), 1-16. [https://doi.org/10.7233/jksc.2017.67.5.001]
  • Kim, Y. K. (2020). A study on the dimension of design idea through the analysis of words that remind of fashion image words: Focusing on classic and avant-garde imaged languag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44(3), 413-426. [https://doi.org/10.5850/JKSCT.2020.44.3.413]
  • Kim, Y., Kim J., Kim, J., Kim, H., & Park, Y. (2002). A study on imagery terms of Korean cultural identity: Focused on papers of fashion and architectural, design in the 1990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15(3), 15-28.
  • Lee, J. S. (2018). The use of visual analogy in fashion design proces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68(6), 1-14. [https://doi.org/10.7233/jksc.2018.68.6.001]
  • Lee, K. L., Park, S. H., & Kwon, M. J. (2009). Classic image classification by clothing design elem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33(1), 160-171. [https://doi.org/10.5850/JKSCT.2009.33.1.160]
  • Lee, W. (2020). A study on word cloud techniques for analysis of unstructured text data.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6(4), 715-720.
  • Lee, Y. J. (2020). A study on the language analysis method for qualitative design research.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21(1), 431-445. [https://doi.org/10.47294/KSBDA.21.1.32]
  • Lim, G. J. (2011). The influence on a creative thinking education by the visual expression using an associ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 Oki. S. (2016). Nendo's problem solving lab (Y. H. Jung, Trans.). Seoul, Republic of Korea: Hans Media. (Original work published 2015)
  • Park, H. W., Lee, M. S., Yum, H. J., Choi, K. H., & Park, S. J. (2006). Modern fashion design. Seoul, Republic of Korea: Gyomoonsa.
  • Park, J. & Kim, M. (2016). The impact of perceived elaboration on attitude toward Ad with rhetorical visual images. Archives of Design Research, 29(2), 137-145. [https://doi.org/10.15187/adr.2016.05.29.2.137]
  • Park, S. H. (2007). Fashion image making. Seoul, Republic of Korea: Yehaksa.
  • Park, Y., Kim, M., & Seo, J. (2020). The relationship between anger control and design code in view of the semiotics: Focused on language and image.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31(6), 13-23. [https://doi.org/10.6107/JKHA.2020.31.6.013]
  • Sang, Y.-J., Yoo, J.-M., Park, M., & Lee, I. (2015). A study on classic fashion image and sensible vocabularies: Focusing on women of baby boom and Y generations.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17(3), 85-98.
  • Sternberg, R. J. & Lubart, T. I. (1995). Defying the crowd: Cultivating creativity in a culture of conformity. New York, U.S.: The Free Press.
  • Tradition. (2020, September 24). In Wikipedia online. Retrieved from https://ko.wikipedia.org/wiki/%EC%A0%84%ED%86%B5
  • Tradition. (n.d.). In NAVER knowledge encyclopedia online. Retrieved from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39882&cid=40942&categoryId=33371

<Fig. 1>

<Fig. 1>
Word Clouds of Expressive Image Vocabulary for Total Design

<Fig. 2>

<Fig. 2>
Word Clouds of Expressive Image Vocabulary for Set up

<Fig. 3>

<Fig. 3>
Word Clouds of Expressive Image Vocabulary for Set up 1

<Fig. 4>

<Fig. 4>
Word Clouds of Expressive Image Vocabulary for Set up 2

<Fig. 5>

<Fig. 5>
Word Clouds of Expressive Image Vocabulary for One piece

<Table 1>

Idea Design Characteristics for Classic ImagesUnit; n(%)

Standard Classification Total
Decorations have duplicate counts
Morphological
characteristic
Item style
70(100.0)
Set up 1(jacket + pants) 13(18.6)
Set up 2(jacket + skirt) 13(18.6)
Shirt + Pants 11(15.7)
Shirt + Skirt 7(10.0)
One piece 19(27.1)
Coat 7(10.0)
Silhouette
70(100.0)
Square 55(78.6)
Triangle 4(5.7)
Oval 2(2.9)
X-shaped 9(12.9)
Pattern
16(22.9)
Check 13(18.6)
Stripe 1(1.4)
Flower, Heart 2(2.9)
Accessory
50(71.4)
Shoes, Boots 19(27.1)
Hat 3(4.3)
Necktie 4(5.7)
Belt 14(20.0)
Bag 3(4.3)
Necklace, Earrings 5(7.1)
Gloves 2(2.9)
Decoration
45(64.2)
Frills, Ruffles 7(10.0)
Pocket 7(10.0)
Button 27(38.6)
Etc 4(5.6)

<Table 2>

Analysis of Association Between Associative Vocabulary and Design

LHS RHS Support Lift Confidence
Expensive => Set up 2 0.057 3.590 0.667
Luxurious => One piece 0.100 1.842 0.500
Gray => One piece 0.057 2.105 0.571
Tidy => Set up 1 0.071 1.795 0.333
Tidy => One piece 0.071 1.228 0.333
Simple => One piece 0.071 1.228 0.333
Dress => Coat 0.043 3.333 0.333
Retro => Set up 2 0.043 2.308 0.429
Luxury => Shirt+Pants 0.043 1.909 0.300
Modern => Set up 2 0.043 1.795 0.333
Modern => Shirt+Pants 0.043 2.121 0.333
Passable => Set up 2 0.043 4.038 0.750
Achromatic color => Set up 2 0.057 1.657 0.308
Unchanging => Set up 1 0.057 1.657 0.308
Brown => Set up 1 0.057 1.657 0.308
Chanel => Set up 2 0.114 2.393 0.444
Western costume => One piece 0.057 2.947 0.800
Handwork => Set up 2 0.043 5.385 1.000
Stripe => Shirt+Skirt 0.043 6.000 0.600
Gentleman => Set up 1 0.043 4.038 0.750
Item => Set up 1 0.043 3.231 0.600
Antique => One piece 0.043 2.211 0.600
Dark => One piece 0.100 2.344 0.636
England => Set up 1 0.043 2.308 0.429
Old => Set up 1 0.043 1.615 0.300
Old => One piece 0.043 1.105 0.300
Original => One piece 0.043 2.211 0.600
Elegant => One piece 0.100 1.517 0.412
Music => One piece 0.114 1.474 0.400
General => Set up 2 0.057 2.692 0.500
General => One piece 0.043 1.382 0.375
Fit => One piece 0.043 1.842 0.500
Jacket => Set up 1 0.057 1.958 0.364
Traditional => One piece 0.086 1.300 0.353
Stereotyped => Set up 1 0.043 2.019 0.375
Stereotyped => One piece 0.043 1.382 0.375
Pearl => Set up 2 0.043 3.231 0.600
Tailoring => Set up 2 0.043 4.038 0.750
Trench coat => Coat 0.071 3.846 0.385
Tweed jacket => Set up 2 0.071 2.991 0.556
Pants => Shirt+Pants 0.043 3.182 0.500
Piano => One piece 0.086 1.579 0.429
Fancy => One piece 0.043 3.684 1.000

<Table 3>

Analysis of Association Between Design and Expression Image Vocabulary

LHS RHS Support Lift Confidence
Set up-Formal & Neat => Passable 0.029 14.000 1.000
Set up-Formal & Passable => Neat 0.029 11.667 1.000
Set up-Formal => Neat 0.029 11.667 1.000
Set up-Formal => Passable 0.029 14.000 1.000
Set up-Neat & Passable => Formal 0.029 17.500 1.000
Set up-Neat => Formal 0.029 7.000 0.400
Set up-Neat => Passable 0.029 5.600 0.400
Set up-Passable => Formal 0.029 17.500 1.000
Set up-Passable => Neat 0.029 11.667 1.000
Set up-Elegant => Traditional} 0.029 7.000 1.000
Set up-Traditional => Elegant 0.029 2.917 0.333
One piece-Aristocratic => Long 0.029 8.750 0.500
One piece-Aristocratic => Elegant 0.029 4.375 0.500
One piece-Aristocratic => Traditional 0.029 3.500 0.500
One piece-Long => Aristocratic 0.029 8.750 0.500
One piece- Elegant => Aristocratic 0.029 7.000 0.400
One piece-Traditional => Medieval 0.029 5.600 0.400
One piece-Traditional => Aristocratic 0.029 11.667 0.667
One piece- Medieval => Elegant 0.029 5.833 0.667
Coat => Steady 0.043 6.000 0.429

<Table 4>

Analysis of Association Between Expressive Image Vocabulary

LHS RHS Support Lift Confidence
Formal, Neat => Passable 0.029 14.000 1.000
Formal, Passable => Neat 0.029 11.667 1.000
Formal => Neat 0.029 5.833 0.500
Formal => Passable 0.029 7.000 0.500
Aristocratic => Long 0.029 8.750 0.500
Aristocratic => Elegant 0.029 4.375 0.500
Aristocratic => Traditional 0.029 3.500 0.500
Basic, Simple => Fitted 0.029 14.000 1.000
Basic, Fitted => Simple 0.029 6.667 0.667
Masculine => Stately 0.029 17.500 1.000
Neat, Passable => Formal 0.029 17.500 1.000
Neat => Formal 0.029 5.833 0.333
Neat => Passable 0.029 4.667 0.333
Neat => Tidy 0.029 2.917 0.333
Long => Aristocratic 0.029 8.750 0.500
Passable => Formal 0.029 7.000 0.400
Passable => Neat 0.029 4.667 0.400
Passable => Basic 0.029 2.154 0.400
Minimal => Tidy 0.029 5.833 0.667
Bustier => Medieval 0.029 14.000 1.000
Simple, Fitted => Basic 0.029 5.385 1.000
Elegant => Traditional 0.043 2.625 0.375
Traditional => Elegant 0.043 2.625 0.300
Medieval => Bustier 0.029 14.000 0.400
Medieval => Elegant 0.029 3.500 0.400
Stately => Masculine 0.029 17.500 0.500
Stately => Simple 0.029 5.000 0.500
Fitted => Simple 0.029 4.000 0.400
Fitted => Basic 0.043 3.231 0.600

<Table 5>

Measure of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Design for Classic

Associative
vocabulary
Representative design Expression image vocabulary
Association Central meaning
Design-
Vocabulary
Between
vocabulary
Schematic work on representative designs
Figure drawn by this researcher
Gentleman
Item
Tidy
Set up 1(Jacket + Pants) Formal-
Neat-
Passable
Formal-
Neat-
Passable
Basic-
Simple-
Fitted
Masculine-
Stately
Bustier-
Medieval
Balance,
Tidy,
Traditional
Traditional,
Neat,
Formal,
Balance,
Basic,
Tidy,
Passable,
Simple
Handwork
Passable
Tailoring
Chanel
Tweed
jacket
Expensive
Pearl
Set up 2(Jacket + Skirt) Traditional,
Neat,
Formal
Fancy
Western-
costume
Luxurious
Dark
Elegant
Music
Piano
One piece Traditional
-
Aristocratic
Medieval-
Elegant
Aristocratic
-Long
Aristocratic
-Elegant
Elegant,
Long,
Aristocratic,
Luxurious,
Simple,
Traditional,
Stately,
Fit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