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Thesis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ol. 68, No. 5, pp.65-86
ISSN: 1229-6880 (Print) 2287-7827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Aug 2018
Received 29 Apr 2018 Revised 10 Jul 2018 Accepted 12 Jul 2018
DOI: https://doi.org/10.7233/jksc.2018.68.5.065

중첩의 특성을 활용한 니트 패션 디자인

한민재 ; 이연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석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교수
Characteristics of Overlapping in Knit Fashion Design
Minjae Han ; Younhee Lee
Master,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Professor,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Younhee Lee, e-mail: yiyhee@hanyang.ac.kr

Abstract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characteristics of overlapping styles analysing the actual cases of contemporary fashion designs that utilize overlapping technique and also the relevant previous studies in a variety of fields. For the research method, the notion of overlapping and its characteristics are reviewed and recast based on relevant literature and advanced research. The results are as follow; The characteristics of overlapping styles are found to be transparency, duplicity, repetition, and collectivity. Transparency is expressed by the superposition of clear or translucent fabrics and subsidiary materials, by placing such fabrics and subsidiary materials at the topmost position. Duplicity is expressed by overlapping pictures and photo patterns, by the technique of trompe l’oeil, by photo-montage, etc. Repetition is expressed by the repetitive use of pleats, tucks, and ruffles, by the repetition of pictures and patterns. Collectivity is expressed by regular or irregular collective arrangement of the units of shapes, colors, and sizes of identical subsidiary materials and pattern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overlapping, this study developed four pieces of knit fashion designs within rectangle. It is found that knit and the use of rectangle are appropriate in the making of these works. Especially while the use of rectangle can give the overall impression of hardness, the combination of these hard and angular rectangle with soft knit produces the mystic effect of uniting two opposing images. successfully and creatively achieving the coexistence of hardness and softness or masculinity and femininity.

Keywords:

collectivity, duplicity, knit fashion design, overlapping, repetition, transparency

키워드:

집합성, 양면성, 니트 패션 디자인, 중첩, 반복성, 투명성

Ⅰ. Introduction

패션은 의복 하나에 많은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의 결합은 단순한 결합이 아닌 사람들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최근 패션 트렌드에 나타나는 현상들을 살펴보면 사람들은 과거로 돌아가고자 하는 레트로적이고 수공예적인 것에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은 과거, 현재가 중첩되고 있는 현상이라 설명할 수 있으며, 테크놀러지와 결합할 수 있는 새로운 미래와의 중첩이 기대되기도 한다. 이러한 상황은 변화를 창출해내는 하나의 방편으로 중첩을 설명한 루돌프 아른하임(Rudolf Arnheim, 1903/2003)의 이론과도 연계된다.

중첩은 다양한 재료는 물론 다양한 의미를 중첩시켜 새로운 변화와 방향성을 창출하기도 한다. 과거 2차원적 회화에서 시작된 중첩의 현상은 다양한 소재들을 사용하여 3차원적으로 겹치는 콜라주(collage), 파피에 콜레(papier colle), 아상블라주(assembliage), 포토몽타쥬(photomontage) 등의 시각적 개념으로 발전하였으며, 건축에서도 다양하게 표현되고 있다.

회화나 건축, 섬유, 산업 등에서는 중첩기법이 많이 다루어지고 이를 활용한 다양한 디자인들이 제시되고 있으나, 패션에서는 중첩 기법의 특성을 작품 제작에 활용한 연구가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중첩과 패션에 관한 연구는 현대 패션에 나타난 중첩의 미적 특성과 유형에 관한 연구(Kim. 2007; Lim, 2011)와 현대 패션에서 나타난 중첩의 표현적 특성(Kim, Im & Jang. 2006), 중첩 기법의 유형과 그에 대한 사례분석(Lim & Kim, 2013)에 대부분 한정되었으며, 작품 제작 연구는 일러스트레이션 작품 제작 연구(Choi, 2015)가 있으나 중첩을 활용한 패션디자인 작품 연구는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첩 관련 선행연구 조사를 바탕으로 패션디자인 분야의 중첩의 특성을 도출하여 이를 기준으로 현대 중첩 패션의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러한 조사 자료들을 바탕으로 핸드 니팅을 활용한 니트 패션 디자인을 전개, 제작하여 다양하고 창의적인 패션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문헌자료들을 중심으로 중첩의 개념을 정리하고, 중첩의 방법이 활용된 다양한 디자인을 살펴보고 중첩디자인의 활용도를 참고하였다. 다음으로 중첩 관련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중첩의 특성을 종합하여 그 분석기준을 마련하였다.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중첩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에서 중첩의 특성을 활용한 디자이너로서 가장 많이 언급된 빅터 앤 롤프(Viktor & Rolf), 크리스찬 디올(Christian Dior), 지방시(Givenchy)의 최근 5년간 컬렉션 3,781점 중 중첩이 나타난 사진자료를 총 973점 수집하였으며, 1차적으로 선별된 작품사례들은 2차 과정에서 중첩의 특성과 표현기법을 대입시켜 분류하는 작업을 하였다. 이와 같이 분석된 연구 내용을 바탕으로 중첩의 특성과 표현기법이 활용된 니트 패션 디자인을 전개 및 제작하였다.


Ⅱ. Overlapping

1. Conception of overlapping

중첩(Overlapping)의 사전적 의미는 ‘일부분이 일치하다’, ‘중복하다’, ‘겹치(어 지)다’라는 의미로 한 장면을 다음 장면과 겹치는 일(Pocket English-Korean Dictionary, n. d.), 여러 층이 겹쳐져 있는 형태(새우리말큰사전, n.d.)를 뜻한다. 중첩은 20세기 초 큐비즘에서 시작되었으며, 회화에서는 ‘풀칠하다’, ‘바르다’의 의미이다. 1912년 당시 입체파 화가들에 의해 시작된 실, 머리카락, 나무 조각, 나뭇잎, 모래, 철사 등 다양한 재료를 한 화면에 덕지덕지 붙여서 2차원의 평면을 구성하는 기법의 콜라주와 여러 재료들 중에서 특히 색지나 악보, 신문지 등의 종이조각을 사용하여 붙이는 파피에 콜레, ‘집합, 집적’의 의미로서 여러 물체를 한 곳에 모아 3차원의 입체 작품을 만드는 아상블라주의 의미를 내포한다. 건축에서는 동시성, 상호관입, 중합, 양면성, 시ㆍ공간성, 다층, 투명성 등과 동의어로 사용된다(Colin, 1986).

루돌프 아른하임에 따르면, 중첩은 연속적인 시각 개념에서 벗어나 변화를 창출해내는 하나의 방편으로, 한 단위가 그 위에 있는 다른 단위에 의해 일부가 가려질 때 생기는 것으로 한 대상 안에서 혹은 여러 대상의 배치에서 나타난다<Fig. 1>(Arenhein, 1903/2003). 중첩은 여러 대상의 배치에 따라 다양한 방식으로 응용되어 나타날 수 있다. 기하학적 조형을 연구한 아사쿠라 나오미가(Asakura Naomi)의 그래픽 디자인에서의 가감승제 도형으로 형을 겹치는 의미의 중복 배치는 합병과 첨가의 방식으로 합병은 동일한 색채를 겹칠 때, 겹쳐진 부분도 동일한 색이 되는 경우, 첨가는 투명한 색채로 이루어진 각 대상의 겹쳐진 부분이 제 3의 색이 되는 경우와 불투명한 형을 겹쳤을 때 중첩된 부분이 가려져 보이지 않게 되는 경우로 나누어 설명하였다(Asakura, 1991/1999).

<Fig. 1>

overlapping

먼저 A의 합병(중복)과 D의 합병(접합)은 허(虛)와 실(實)의 투명성 개념을 뒷받침 할 수 있는 것으로 지각적 측면에서 투명성을 가진 중첩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생략된 중첩 부분을 지각적으로 예상할 수 있는 것이다(Asakura, 1991/1999). B의 첨가(중복)1와 C의 첨가(중복)2는 하나의 도형이 그 위의 다른 도형에 중첩되는 형식으로 여기서 B에 제시된 것이 불투명한 면들의 중첩이라면 C에 제시된 것은 투명한 면끼리의 중첩이 될 수 있다(Arenhein, 1903/2003). 중첩은 두 물체 사이에 공간성을 형성하게 하는데, B의 경우 두 면의 중첩된 순서를 확인할 수 있으며, 중첩된 면들 사이에 공간성이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B와 C가 면과 면의 중첩인데 비해 E의 경우는 중첩된 부분에 있어서 하나의 면을 만드는 요소인 선의 중첩이라고 할 수 있으며, 선의 중첩 역시 불투명한 중첩과 투명한 중첩 두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Fig. 2>.

<Fig. 2>

the four rules of arithmetic arrangement from Asakura Naomi (1999)

2. Example of overlapping design

중첩 관련 디자인은 회화, 시각, 건축, 산업, 직물 등의 디자인 분야에서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회화와 시각 분야에서 나타난 중첩의 특성은 입체적인 구조와 형상이 평면 위에 그림이나 삽화, 사진 등으로 나타나는 각 분야의 표현 특성상, 중첩의 배치가 대부분 2차원 안에서 나타났다. 러시아의 아방가르드 미술가 류보프 포포바(Lyubov Popoba)의 ‘회화적인 건축(Painterly Architectonic)’ 작품에서는 2차원의 화면 안에서 여러 기하학적 무늬들이 상하로 서로 중첩되어 그려진 것을 볼 수 있다<Fig. 3>. 화면 안에 구성된 불투명한 각 도형들은 중첩된 순서에 대한 시간성이 잘 나타난다. 이는 중첩된 각 대상의 명확한 구분에 의한 입체감과 일부가 다른 대상들에 의해 제거되면서 그 사이사이에 공간성을 더해 원근감이 느껴지게 한다(Asakura, 1991/1999).

<Fig. 3>

Lyubov Popova (1917), Painterly Architectonics from moma.org

중첩의 기본적인 의미를 대표적으로 설명할 수 있는 아상블라주(assemblage)와 파피에 콜레(papier collé), 트롱프뢰이유(trompe l'oeil) 기법을 개발한 화가이자 20세기의 가장 영향력이 있는 미술운동을 이끈 입체파 화가 조르주 브라크(Georges Braque)의 작품에서도 중첩의 특성이 잘 나타난다. 그는 피카소와 함께 2차원의 평면 위에 3차원의 오브제를 표현하고자 하였는데, ‘에스타크의 집(Houses at L'Estaque)’은 자연을 기하학적 기법으로 단순화시킨 후, 사물을 중복 배치하여 평면 위에 입체적 공간을 투사한 작품이라 할 수 있다<Fig. 4>(doopidia, n. d.).

<Fig. 4>

Georges Braque (1908) Houses at L'Estaque' from news.kmib.co.kr

칼노브스키(Carnovsky)는 프란체스코 루기(Francesco Rugi)와 실비아 퀸타닐라 (Silvia Quintanilla)가 결성한 크리에이티브 듀오로, 이들은 각각 빨강과 초록, 그리고 파랑 세 가지 원색으로 그려진 이미지들을 중첩시켜 구성하는 RGB 테크놀로지 작품을 만드는 그룹으로 잘 알려져 있다. 이들의 작품은 RGB의 세 가지 원색이 중첩되면서 전혀 예상할 수 없는 불분명한 이미지들이 탄생하는 것이 특징이다. 아사쿠라 나오미의 그래픽 디자인 가감승제에 의한 배치에서 ‘첨가(중복)2’의 방식으로 각각의 테마를 서로 다른 색상으로 투명성이 나타나도록 중첩시킨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한 화면 안에 여러 이미지들이 동시에 나타나는 동시성이 존재한다. ‘Jungla n. 1’<Fig. 5>(carnovsky.com)의 작품에서는 동물과 여러 종류의 식물들이 중첩되어 보인다.

<Fig. 5>

Carnovsky (2011), Jungla n.1 from carnovsky.com

사진작가 브르노 델 조우(Brno Del Zou)의 조각 초상화에서도 중첩이 잘 나타난다<Fig. 6>. 다른 각도에서의 이목구비 사진들을 조합하여 2차원의 평면 위에 3차원적인 초상화를 표현하였다(fotofeverartfair.com). 다양한 각도에서 수백, 수천 장의 사진들을 찍어 이를 중첩시켜 하나의 작품으로 연결하는 사진작가 펩 벤토사(Pep Ventosa)의 작품에는 여러 장의 사진이 투명성을 가진 채 서로 중첩되어 있다<Fig. 7>. 그는 전 세계의 놀이동산을 다니면서 회전목마를 다양한 각도에서 찍어 중첩시켰는데(Paris conception, pepventosa.com), 2차원의 정지된 사진 속에서 실제로 움직이는 듯한 3차원의 운동감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여러 각도에서의 사물에 대한 공간성과 한 작품 안에서 과거와 현재가 동시에 공존하는 동시성, 그리고 그에 의한 여러 가지 형태 및 개념의 다중성도 함께 찾을 수 있다.

<Fig. 6>

Brno Del Zou (2012), Autoportrait from fotofeverartfair.com

<Fig. 7>

Pep Ventosa, Carousel de la Tour Eiffel from www.pepventosa.com

한나 회흐(Hannah Höch)는 삽화가 있는 잡지나 사진 등의 인쇄물을 오리고 재조립하여 ‘포토 몽타주’의 새로운 작업방식을 선보인 독일의 다다이즘 예술가이다(doopidia, n.d.). 그녀의 작품 ‘Fashion Show’는 서로 다른 삽화에서 일부분을 오려와 재조합하여 합성된 새로운 이미지로 재탄생시켰는데 2차원의 이질적인 요소들의 각 일부가 한 화면에 중첩되어 표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Fig. 8>(Cumming, 2014). 이는 가려진 일부분이 제거되는 동시에 서로 다른 요소들이 하나의 형태로 합성되는 의미의 통합성이 나타난다.

<Fig. 8>

Hannah Hoch (1935), Fashion Show from https://www.theguardian.com Laura Cumming,(2014)

중첩된 배치들이 대부분 2차원 안에서 나타난 회화와 시각 분야와 달리, 건축 및 산업 분야에서 나타난 중첩의 특성은 대부분 3차원의 공간적 표현으로 나타났다. 시카고에 있는 마리나 시티(Marina City) 빌딩은 옥수수의 단면을 연상하게 하는 원형의 평면 구조물이 층층이 계속적으로 중첩되면서 입체적인 옥수수의 형상을 하고 있다(doopidia, n. d.). 이는 바닥 면과 기둥의 면이 계속적으로 중첩되어 이루어진 것을 알 수 있다. 바닥 면과 기둥 단면의 같은 구조물이 계속적으로 반복 중첩됨으로써 연속성이 느껴진다<Fig. 9>.

<Fig. 9>

Marina City from a-tour.net

‘의화빌딩’은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건물로 서로 다른 크기와 형태의 육면체가 입체적으로 공간을 이루면서 중첩되었는데<Fig. 10>, 아사쿠라 나오미의 그래픽 디자인에서의 가감승제에 의한 배치에서 첨가(중복)1의 방식이 입체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즉, 공간과 공간이 중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정면에서 보면 서로 다른 크기와 모양의 사각형이 평면적으로 중첩된 것처럼 나타나 제거된 뒷면이 존재할 것 같지만, 측면에서 봤을 때, 제거된 부분은 입체적으로 눌려져 그 공간을 제거시킨 대상이 그 공간을 차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Fig. 10>

Uihwa Building from h2nl.tistory.com

패트릭 주앙의 ‘One Shot’ 접이식 의자는 나사나 스프링, 차축, 그리고 가시적인 경첩이 없고, 오로지 중력에 의해 수직 다발의 폴리아미드 막대기가 유동적으로 펼쳐져 의자가 된다<Fig. 11>. 펼쳐진 의자의 모습은 같은 한 단위의 폴리아미드 막대기들이 서로 반복 중첩되면서 이루어진 것이다(www.technocrazed.com). 이는 반복요소들이 단순히 본래의 모습을 중첩시켜 연속적으로 그 모양을 늘린 것과는 다르게 본래의 모습과는 다른 새로운 형태로 나타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 11>

Patrick Jouin (2006), One Shot from deco-design.fr-bb.com

섬유분야에서 나타난 중첩의 특성은 어떠한 요소의 중첩 배치가 대부분 2차원적 표면으로 나타났지만 섬유를 이루는 실이 조형적으로 공간을 이루어 배치되는 경우 3차원적인 형태로 나타나기도 했다. 설치미술가 가브리엘 다(Gabriel Dawe)는 여러 색상의 실들을 정교하게 가공된 광원의 각도를 이용하여 규칙적으로 배열하였는데(gabrieldawe.com), 그의 작품 plexus no.24를 보면 배열된 실들이 서로 중첩되면서 면을 이루고, 이는 작가의 의도에 따라 입체적인 조형을 이루고 있다. 실 사이사이 간격으로는 중첩된 실들의 색상이 나타나, 각 요소들이 한 번에 겹쳐 나타나는 동시성을 보여준다. 이는 실의 여러 가지 색상들이 서로 어우러져 전체적으로 봤을 때, 마치 한 장의 무지개 색상 섬유를 보는 것 같다<Fig. 12>.

<Fig. 12>

Gabriel Dawe (2013), plexus no.24 from gabrieldawe.com

3. Advanced research of overlapping in fashion design

본 연구에서는 패션디자인에 나타난 중첩의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조사하였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Choi(2015)의 연구에서는 중첩의 투명성을 두 가지로 나누었는데, 둘 이상의 형태가 겹쳐질 때 하나의 대상이 감추어져 일부분이 보이지 않는 경우의 ‘불투명한 중첩’과 투명한 형태가 중첩되어 관입하는 현상으로, 그 투명성으로 인해 중첩된 후에 교차된 부분이 뚜렷이 드러나는 경우의 ‘투명한 중첩’, ‘투명한 관입’으로 분류하였다. Lim & Kim(2013)은 회화와 건축, 패션 분야의 선행연구에서 나타난 중첩의 기법 유형들을 정립하여 각각 4가지로 묶어 겹침, 반복, 관입, 투명으로 분류하여 이를 토대로 사례분석을 하였는데, ‘겹침’은 둘 이상의 대상이 단순하게 겹쳐지거나 포개어지는 것, ‘반복’은 유사 혹은 동일한 요소들의 중첩, ‘관입’은 상호 침투에 의한 중첩, ‘투명’은 물리적 투명성에 의한 시각적 중첩으로 설명하였다. Jin(2009)은 중첩의 표현양식을 콜라주, 상호관입, 투명한 면에 의한 중첩, 기하학적 입방체의 반복이라는 네 가지 기법으로 구분하였고, 중첩 표현의 미적 특성을 확장과 깊이에 의한 공간감, 반복의 시각적 연속성에 의한 리듬감, 방향성에 의한 역동감, 투명성에 의한 소통, 양면성의 대립에 의한 긴장감의 다섯 가지로 서술하였다.

Kim(2007)은 중첩 효과의 미적특성에 대한 연구에서 중첩의 미적 특성을 반복성, 투명성, 연속성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다. 반복성은 단위형태의 요소나 형태의 반복으로 얻어지는 조형적 효과로, 시각적 통일성과 집합적 특성, 시각적 변화에 따른 리듬감과 반복을 통한 균형감과 풍부함을 내포하고 있다고 서술하였다. 투명성은 공간적인 측면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대한 동시적 지각으로, 공간 간의 관계성, 공간감, 깊이감을 부여하고 연속성은 방향과 변화의 위치변화를 통해 연속된 운동감이 표현 가능하다고 설명하였다. Kim et al. (2006)은 1900년대 후반 이후의 패션에 나타난 중첩의 특성을 집단성의 강화(집단성), 제거와 통합의 속성(양면성), 깊이에 따른 공간적 분리(공간감), 긴장감 유발(긴장감) 네가지로 분류하였는데, 이는 루돌프 아른하임의 ‘Art & Visual Perception’의 논의를 중심으로 중첩의 특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선행연구 조사를 통해서 나타난 패션 디자인의 중첩 특성은 투명성, 공간감, 동시성, 양면성, 긴장감, 반복성, 연속성, 리듬감, 역동감, 집단성 등으로 나타났다<Table 1>. 패션디자인에서의 투명성에는 상호관입과 공간적 깊이, 다의적인 이미지, 확장과 깊이의 공간감, 동시적 지각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양면성에는 제거와 통합, 은폐와 노출, 긴장감, 복수성의 의미가 내포되었고, 긴장감에서의 양면성의 대립에 의한 복수성과 역동성의 내용이 포함되었다. 반복성은 시각적 통일성과 집합성, 리듬감과 균형감의 내용을 포함하며, 방향성과 리듬감, 공간구성의 긴장감의 연속성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었다. 집단성에는 완전성의 감소와 상호 수정과 간섭, 강조의 내용이 포함되었다.

Characteristics of overlapping in fashion design study


Ⅲ. Characteristics of overlapping in contemporary fashion design

본 연구에서는 패션 분야의 중첩 관련 선행연구에 나타난 중첩의 특성 중 비슷한 특성을 내포하는 것끼리 분류하여 4가지 유형으로 다시 정리하였다. 투명성과 공간감을 투명성으로, 양면성과 긴장감을 양면성으로, 반복성, 연속성, 리듬감, 역동감을 통합하여 연속성으로, 그리고 집단성을 하나의 특성으로 총 4가지의 중첩의 특성으로 분류하였으며, 이와 같은 분류 기준을 토대로 중첩을 활용한 현대 패션디자인 사례를 분석하였다.

작품 사례 분석을 위한 패션 디자이너 선정 기준은 선행연구에서 중첩의 특성을 활용한 디자이너로서 가장 많이 언급된 순으로, 빅터 앤 롤프(Viktor & Rolf), 크리스찬 디올(Christian Dior), 지방시(Givenchy), 후세인 샬라얀(Hussein Chalayan), 존 갈리아노(John Galliano), 장 폴 고티에(Jean Paul Gaultier) 등의 디자이너들 중 상위 3인의 디자이너를 선정하여 작품 사례를 수집,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중첩을 활용한 디자이너들의 언급횟수 기준은 각 선행연구마다 분류한 중첩의 특성 및 표현기법 별 예시로 가장 많이 언급된 순으로 선별했다.

연구 범위는 최근 5년(2012년~2016년)으로, 빅터 앤 롤프의 컬렉션은 총 31회로 910장의 작품 사례가 수집되었고, 중첩이 나타난 의상은 242장으로 선정되었다. 크리스찬 디올의 컬렉션은 총 30회로 1,448장의 작품사례가 수집되었고, 이 중 중첩이 나타난 의상은 326장으로 선정되었다. 지방시의 컬렉션은 총 33회로 1,423장의 작품 사례가 수집되었고, 이 중 중첩이 나타난 의상은 405장으로 선정되었다.

1차적으로 선별된 작품사례들은 2차 과정에서 중첩의 특성과 표현 기법을 대입시켜 분류하는 작업을 하였다.

그 결과 앞서 분류하였던 중첩의 4가지 특성 중 한 가지의 특성만 나타나는 작품사례는 거의 없고 전반적으로 2가지 이상의 중첩특성이 결합된 형식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첩의 4가지 특성은 분류될 만한 서로 다른 특성들이지만, 세부적으로 봤을 때 각 특성들 안에 서로 다른 특성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이 일부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사료된다. 따라서 중첩의 특성을 한가지 씩 나누어 선정된 디자이너들의 컬렉션 작품 사례를 빈도 분석하는 것은 불가능 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첩의 특성을 활용한 각 디자이너의 전반적인 작품사례 흐름을 분석하고 그 안에서 중첩의 각 4가지 특성과 표현 기법들을 대표적으로 잘 보여주는 것들을 중심으로 정리하였다.

1. Transparency

패션 컬렉션에서 나타난 중첩의 투명성은 기본적으로 투명 혹은 반투명한 원단, 망사나 레이스의 소재, 그리고 투명성을 가지는 부자재 등의 활용으로 많이 나타났으며, 이 소재들은 중첩되면서 그 사이에 공간의 깊이를 가지면서 투명성을 유발하였다. 투명한 것끼리의 중첩, 반투명한 것끼리의 중첩, 투명, 반투명 혹은 불투명한 원단위에 투명 혹은 반투명한 원단 및 망사와 레이스, 투명한 부자재를 중첩 시키는 등의 표현기법들은 색상과 명도, 채도의 변화를 주는 동시에 시각적인 측면에서의 질감의 변화 효과도 주었다. <Fig. 13> 러플 장식은 같은 색의 비치는 쉬폰 원단을 여러 겹 겹쳐 거의 불투명한 원단이 될 때 까지 중첩시켰다. 이는 중첩된 쉬폰 원단이 한 겹 한 겹 나타남으로써 중첩효과를 강화시키고 있으며, 중첩된 횟수가 적은 부분과 많은 부분이 대비됨으로써 투명성과 명도의 차이도 함께 나타나고 있다. 반면 <Fig. 14>은 서로 다른 색상의 쉬폰 원단을 중첩시켰는데 투명한 원단의 서로 다른 채도와 명도가 중첩됨으로써 두 가지, 세 가지 혹은 그 이상의 색들이 혼합되어 나타나 투명성의 효과를 부각시킨다.

<Fig. 13>

Viktor & Rolf 2016 FW from vogue.com n.d.

<Fig. 14>

Viktor & Rolf 2016 FW from vogue.com n.d.

불투명한 원단과 중첩할 때에도 투명성이 나타났는데, 이는 투명성을 가지는 원단이 가장 위에 배치되었을 때 나타났다. 이는 각 대상들이 한 번에 겹쳐 나타나는 동시성과 서로 다른 대상들이 함께 공존하는 다중성을 잘 보여준다. <Fig. 15>의 작품은 반투명한 원단을 가장 위에 배치시킴으로써 안에 입혀진 옷이 밖으로 나타나 보이는 중첩의 투명성을 잘 보여주고 있다. 내의의 회색과 겉옷의 회색은 원래 같은 톤이었음에도 반투명한 흰색 겉옷의 중첩효과에 따라 내의의 회색과 명도 차이가 나타나며, 질감에 있어서도 겉옷에 비해 내의의 경계선이 더 흐릿하여 중첩된 부분에 대한 거리감이 형성되어 공간성이 나타난다.

<Fig. 15>

Viktor & Rolf 2014 FW from vogue.com n.d.

그림이나 사진 등의 패턴의 중첩 작품에서는 중첩의 투명성 역시 이러한 방식으로 나타났는데, 투명한 원단 자체에 여러 그림의 패턴을 중첩시키거나<Fig. 16>, 불투명한 원단위에 포토몽타주 기법을 응용하여 여러 그림이 한 면에 겹쳐보이게 함으로써 홀로그램의 효과를 주는 경우로 나타났다. 이는 움직이는 듯한 착시를 불러일으키는 운동감과 중첩 대상들의 원근이 동시에 나타나거나 혹은 원근이 서로 모호한 이중성을 잘 보여준다.

<Fig. 16>

Givenchy 2016 SS from vogue.com n.d.

패션에 나타난 중첩의 투명성은 대체적으로 중첩되는 소재들의 색감과 명도, 채도와 함께 비치는 원단들의 사용과 투명성을 가지는 부자재들의 중첩, 투명한 소재의 가장 윗부분 배치 등을 통해 나타나 투명성을 부각시키기 위해서는 특히 투명한 원단과 재료의 선택이 중요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이는 패션에서 나타나는 중첩의 투명성은 투명한 소재를 중첩해 나감으로써 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고 주장하였던 김선경(2017)의 연구결과와 일맥상통하며 여기에 불투명한 소재들의 개조를 통한 중첩의 투명성, 포토몽타주 기법과 같은 그림과 패턴을 이용한 투명성이 추가된다고 할 수 있겠다.

2. Duplicity

패션에 나타난 양면성은 주로 불투명한 원단 및 부자재의 중첩으로 나타났다. 빅터앤롤프의 작품에서는 머리카락과 눈, 코, 그리고 입술을 상징하는 각각의 패치들이 조각조각 의상 위에 중첩되어 결국 전체적으로 사람의 얼굴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는데<Fig. 17>, 이는 가장 기본이 되는 양면성의 특징인 제거와 통합성과 중첩된 대상들의 순서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간성이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디올의 작품<Fig. 18>에서는 서로 다른 색상과 질감의 불투명한 원단들이 겹겹이 중첩되어 중첩된 부분이 제거되면서 동시에 통합되는 양면성의 기본적인 특징을 잘 보여준다.

<Fig. 17>

Viktor & Rolf 2016 SS from vogue.com n.d.

<Fig. 18>

Dior 2013 SS from vogue.com n.d.

패션에서 중첩의 양면성은 트롱프뢰유 기법으로도 많이 나타났는데 패치와 그림 패턴을 활용하였다. <Fig. 19>의 작품은 각각 티셔츠와 조끼, 재킷, 그리고 셔츠와 점퍼를 입은 것 같이 보이지만 실제로는 패치를 이용하여 경계선을 만들어 박음질 한 것이다. 이는 여러 겹의 옷을 입은 것 같지만 실제로 제거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양면성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Fig. 19>

Viktor & Rolf 2016 SS from vogue.com n.d.

패턴 무늬를 이용한 중첩의 양면성은 그림 패턴의 조각이나 사진 패턴 조각들의 중첩으로 나타났다. <Fig. 20>은 원과 사각형, 스트라이프 등의 패턴무늬가 중첩되었는데, 중첩된 패턴조각의 배치가 실제로는 가려진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 동시에 각 대상들의 순서를 파악할 수 있는 시간성과 통합성, 중첩된 대상들 사이사이의 공간성을 통한 입체감이 나타난다.

<Fig. 20>

Givenchy 2014 SS from vogue.com n.d.

이와 같이 패션에서 나타나는 양면성은 기본적으로 불투명한 원단이나 조각들이 중첩되는 제거와 통합성의 성격으로 나타났고, 패치를 봉제하거나 그림을 이용한 트롱프뢰유 기법과 그림이나 사진 패턴과 같은 패턴 무늬를 이용한 중첩, 포토몽타주 기법 등으로 나타났다.

3. Repetition

패션 컬렉션에서 나타난 반복성은 대체적으로 어떤 한 단위와 간격의 반복 형태로 나타났는데, 표현기법으로는 플리츠나 턱, 러플 등의 반복이 가장 많이 보였다. 턱의 기법으로 연속성을 가지고 반복 중첩되고 있거나<Fig. 21>, <Fig. 22>의 작품은 같은 모양의 패턴이 일정한 간격으로 반복 배치되었으며, 특히 삼각 모양의 패턴이 왼쪽으로 여러 겹 중첩되어 시선이 한 쪽으로 쏠리는 방향성이 나타난다. 중첩의 반복성은 반복되는 한 단위가 일부 혹은 의상 전체를 두르고 있어 계속 이어지는 듯한 연속성을 느끼게 하며, 더 나아가 리듬감과 율동감, 역동성도 느끼게 한다. <Fig. 23>은 같은 러플과 같은 스티치 모양의 한 단위가 점진적으로 크기가 커지면서 반복 중첩되어 시선이 밑단으로 갈수록 무게감이 느껴지게 한다. 중첩의 반복성은 반복되는 한 단위가 일부 혹은 의상 전체를 두르고 있어 계속 이어지는 듯한 연속성을 느끼게 하며, 리듬감과 율동감, 역동성도 느끼게 한다.

<Fig. 21>

Dior 2014 SS from vogue.com n.d.

<Fig. 22>

Viktor & Rolf 2014 SS from vogue.com n.d.

<Fig. 23>

Viktor & Rolf 2012 SS from vogue.com n.d.

중첩의 반복성은 단순한 그림 패턴의 반복으로도 나타났는데, 지방시의 작품에서는 사람의 얼굴이 셔츠와 넥타이, 점퍼에 반복 삽입되어 옷이 입혀짐에 따라 반복 중첩되었는데, 입체감을 부여할 뿐만 아니라 움직이는 듯한 느낌을 준다<Fig. 24>. 이와 같이 반복성은 플리츠나 턱, 러플 등과 같은 어떤 한 단위와 간격의 반복 중첩, 그림 패턴을 이용한 반복 중첩, 그리고 포토몽타주 기법을 활용한 반복 중첩으로 나타났다. 반복성은 이와 같이 같은 단위의 형태와 일정한 간격의 계속적인 반복 구성에 의해 집합적 특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본 연구에서는 반복성의 경우, 반복을 하되 집합성을 가지지 않는 경우로 한정하여, 집합성을 가지지 않으면서 같은 한 단위가 일정한 간격으로 규칙적인 반복 배치를 할 경우에 한정하였다.

<Fig. 24>

Givenchy 2013 SS from vogue.com n.d.

4. Collectivity

집합성은 어떤 일정한 틀 안에서 같은 단위 형태들이 규칙 혹은 불규칙하게 통합성을 가지고 중첩되어 모여 있는 경우 ‘반복 구성에 의한 집합성’, 같은 한 단위가 아닌 여러 모양의 서로 다른 단위 형태가 일정한 간격을 가지지 않은 채 통합성을 가지고 모여 있는 경우를 ‘규칙 없이 통일성을 가지는 집합성’으로 분류하였다.

반복 구성에 의한 집합성의 예시로, <Fig. 25>의 지방시 작품은 원단의 일부분을 허니콤 방식을 활용하여 중첩시켰는데, 같은 모양의 허니콤이 일정한 틀 안에서 반복 중첩되어 집합을 이루고 있다. <Fig. 26>의 작품은 일정한 모양과 색상, 그리고 일정한 길이의 실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 배치되었고 이 반복 중첩된 배치가 하나의 덩어리로 인식되어 집합성을 느끼게 한다. 이는 어떠한 요소들이 모여 전체가 하나로서 파악되는 통일성과 전체적인 부피확장을 통한 압도성 및 과시성을 잘 보여준다. 디올의 작품에서는 꽃잎 모양의 같은 한 단위의 부자재가 불규칙하게 중첩되어 있는데<Fig. 27>, 일정한 간격을 두지 않고도 집합 중첩된 한 단위가 같으면 반복구성에 의한 집합성을 느끼게 한다.

<Fig. 25>

Givenchy 2015 FW from vogue.com n.d.

<Fig. 26>

Viktor & Rolf 2014 FW from vogue.com n.d.

<Fig. 27>

Dior 2014 SS from vogue.com n.d.

규칙이 없이 통일성을 가지는 집합성의 예시로, 빅터앤롤프의 작품<Fig. 28>은 원 모양, 삼각 모양, 사각 모양 등 서로 다른 모양과 색상의 단추들이 일정한 간격의 반복이 없이 함께 모여 전체가 하나로 파악되는 통일성을 가지고 있어 규칙이 없이 통일성을 가지는 집합성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패션디자인에서 나타나는 집합성은 서로 같은 모양과 색상, 크기의 단위들이 규칙 혹은 불규칙적으로 집합 배치되어 나타나는 ‘반복 구성에 의한 집합성’과 각 구성 요소들의 단위가 서로 다르고, 배치된 간격이 서로 불규칙 하게 집합 배치되어 나타나는 ‘규칙이 없이 통일성을 가지는 집합성’으로 세분화 할 수 있었다.

<Fig. 28>

Viktor & Rolf 2016 FW from vogue.com n.d.


Ⅵ. Production of works

1. The concept of production

본 연구는 중첩의 특성과 표현기법을 활용한 디자인을 전개하고자 선행연구 조사를 토대로 현대 패션에 나타난 컬렉션 사례를 수집하여 다양한 중첩의 특성이 나타난 사례를 분석하였다. 사례분석 결과 중첩을 활용한 현대 패션디자인에서 다양한 소재 및 액세서리 등을 활용한 중첩 패션디자인은 많이 나타난 것에 비해 니트 패션 디자인 사례는 미비한 상황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첩의 특성과 표현기법들을 니트 패션디자인에 활용하여 다양하고 창의적인 니트 패션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중첩의 특성을 활용한 니트 소재와 사각형을 활용하여 핸드 니팅을 활용한 수공예적 작품 4점을 전개, 제작하였다. 현대 여성의 강인하면서도 여성스러운 느낌을 표현하고자 집단성, 반복성, 연속성 등의 중첩 특성과 함께, 투명성을 활용하여 여성적 분위기의 이중성을 가진 디자인으로 전개하고자 하였다. 컬러는 브라운 계열로 설정하여 무게감을 전달하고자 하였다<Table 9>.

중첩 디자인을 위한 방법으로 사각형 모듈을 활용하였다. 사각형의 형태는 니트와 가죽 등의 소재를 활용하기에 적합하고, 중첩의 특성을 작품에 효과적으로 표현하기에 적합한 형태이다. 사각형은 우리 주변에서 가장 흔히 보이는 도형 중 하나이며, 사각의 형태는 분석을 통해 도달한 이성적인 형태를 가리키는 조형적 개념이다(Oh, 2010). 사각형은 수직선과 수평선이라는 직선으로 이루어진 인간의 위대한 문명의 산물이라고 할 수 있으며(Seo, 2013), 사각형은 현재 우리의 삶을 포함하여 앞으로도 계속 인류의 문명에 뗄 수 없는 요소로 작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사각형은 자연의 질서를 포함하고 있는 기본적인 형태이며 객관화 될 수 있는 가장 근본적인 도형으로, 극도로 단순화되어진 형태이기 때문에 시각적인전달이 가장 빠른 조형 언어이다(Lee, 2010). 또한 비례, 대칭, 반복, 중첩, 쪽 맞추기라는 의미의 테셀레이션(tessellation) 등 규칙과 불규칙한 구성, 그리고 논리적인 방법에 의해 여러 가지 흥미 있는 모양으로 모듈화 된다. 이러한 모듈은 다시 새로운 체계로 조직되고 변용되면서 불가사의하고 마술적인 모습으로 확장된다. 이는 또 다시 일상 속 공간 및 물건과 만나면서 디자인 콘텐츠로 무한 확대될 수 있다(Seo, 2013). 사각형은 무한한 창조의 생명력을 가진 한 단위로서 계속적으로 연구할 가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사각형의 특성과 중첩의 의미와 연계하여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Production plan

2. Production of works and description

1) Design 1

중첩의 표현 특성 중 집합성을 활용하여 통일성과 전체적인 부피 확장을 통한 압도적인 분위기를 표현하고자 하였다. 기법 활용에 있어서 디자인 1은 중첩의 투명성을 나타내기 위해 원피스 제작에 있어서 실의 엮기 방식을 이용하였다. 엮인 실 사이에 간격이 적당히 있어야 중첩의 투명성의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대바늘 2mm에 해당하는 얇은 실을 8mm의 호수로 겉뜨기를 하였다. 엮인 실 사이로는 메쉬 망사 소재가 중첩되어 나타난다. 특히 원피스 소매 부분은 니트 안의 메쉬 소재에 구김을 주어 볼륨감을 주었으며, 이렇게 중첩된 메쉬 소재가 겉의 니트와 중첩되어 투명성이 나타나도록 했다.

후드 베스트는 사각형의 중첩을 활용하여 제작하였는데, 코바늘을 이용하여 사각형의 각 면을 각각에 해당하는 실의 색상으로 제작하고, 이들을 서로 연결하여 입체감이 있는 정육면체로 만들었다<Fig. 29>. 정육면체들은 서로 다시 연결되어 상의 전체의 후드 베스트의 형태를 이루게 하였는데, 이는 사각형의 각 면을 구성하고 있는 선들이 중첩되어 정육면체가 되고, 또 정육면체의 사각형을 이루고 있는 각 면들이 다른 정육면체의 사각형의 각 면들과 중첩되어 같은 모양의 여러 정육면체가 일정한 간격으로 중첩되고 있음을 표현하고자 했다. 이렇게 중첩된 정육면체들은 후드 조끼 형태의 일정한 틀 안에서 반복 구성되어 집합성을 이루어 압도적 분위기를 연출하고자 하였다<Fig. 30>, <Fig. 31>.

<Fig. 29>

Design 1 & flat drawing

<Fig. 30>

Square module, crochet knitting

<Fig. 31>

Square module vest making

2) Design 2

디자인 2는 상의에 겹겹이 중첩시킨 사각형의 조각들을 활용하여 투명성, 양면성, 연속성, 집단성의 중첩 4가지 특성을 모두 표현하고자 하였다. 색상은 전체적으로 어두운 톤의 브라운을 사용하여 스트레스로 인한 어둡고 고통스러운 이미지를 표현하였다. 살짝 비치도록 성글게 제작된 투명한 니트 원피스에 의해 실루엣이 그대로 드러나 여성스러운 이미지를 보여주지만, 동시에 상의와 모자의 몸을 보호하는 전투적인 갑옷 형태의 실루엣은 강인한 여성의 이미지를 나타내고자 하였다(Fig. 32).

<Fig. 32>

Design 2 & flat drawing

중첩 표현 기법은 중첩의 투명성을 나타내기 위해 니트 원피스 제작에 원사 대비 굵은 대바늘을 사용하여 밀도를 성글게 하여 투명도와 중첩을 표현 할 수 있도록 플레인 조직으로 작업하였다. 디자인 1과 같이 술을 코바늘로 제작하여 달았는데, 술 하나하나가 움직일 때마다 중첩되면서 그 사이사이로 인체와 안에 입혀진 의상이 함께 나타나는 투명성을 표현하기 위한 것이다<Fig. 33>, <Fig. 35>.

<Fig. 33>

one-piece knitting

<Fig. 35>

neckline knitting

상의는 구멍이 난 니트 소재와 형태 고정이 뛰어난 두꺼운 튤 소재를 각각 겉감과 안감으로 활용하여 중첩시켜 고정시켰으며, 사각형의 가죽 조각들을 2*2의 크기부터 8*8의 크기까지 잘라 반복 배치하여 고정하였다. 이 같은 정사각형들은 서로 다른 크기로 반복 배치되어 연속성을 가지도록 하였으며, 율동감과 리듬감도 함께 나타내고자 하였다. 중첩된 사각 모양의 조각들을 통해 겹쳐진 부분이 제거되는 동시에 하나로 통합되어 나타나는 양면성도 표현하고자 하였다. 상의에서 사각형의 가죽 조각을 중첩시킨 부분을 제외하고 남은 부분에는 원피스 제작에서 사용하였던 니트 원사를 5cm로 잘라 스킬자수 기법으로 구멍 난 원단에 한 가닥 씩 심어주었는데, 이는 심어진 실 한 가닥이 하나의 단위로써, 여러 개의 같은 실 가닥이 반복 중첩되어 나타나는 집합성을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Fig. 34>. 또한 모자에서도 정육면체의 한 단위를 여러 개 반복 집합 배치하여 중첩의 집합성을 표현하였다<Fig. 36>.

<Fig. 34>

The overlaying of a piece of leather

<Fig. 36>

hat making

3) Design 3

디자인 3은 니트 풀오버 상의에 니트 조직의 메리야스 조직의 리버스-플레인 조직과 원사의 배색을 사각형 문양으로 활용하여 양면성, 반복성의 중첩 특성을 표현한 디자인이다. 흰색과 아이보리 색상의 원사를 교차뜨기 하여 직사각형의 모양으로 나타나도록 반복 배색하였다. 전체적으로 보기에는 아이보리 색상으로 된 부분이 중첩되어 튀어나와 보이지만, 실제로는 중첩되어 제거된 부분이 존재하지 않는다. 상의에 베이지 색상의 중첩된 사각형 위에 비스듬히 겹쳐진 스웨이드와 망사 메쉬 원단의 사각 조각들을 직사각형 모양으로 잘라 서로 중첩시켜 니트에 고정하였는데<Fig. 37>, 이는 실의 배색과 반대로 중첩되어 제거된 부분이 존재하며, 아이보리 색상으로 배색뜨기 된 부분이 중첩된 듯한 효과를 강조한 것이다.

<Fig. 37>

Design 3 & flat drawing

스커트는 중첩의 투명성을 나타내기 위해 서로 다른 세 가지 색상의 투명한 매쉬 원단을 서로 중첩시켰다. 겉은 옅은 베이지 색상, 안쪽에는 그보다 진한 브라운 계열의 색상을 사용하였다. 안에 중첩된 메쉬 원단들은 가장 상단에 위치한 메쉬 원단의 색상보다 진한 것을 선택하여 중첩의 효과를 강하게 하였는데, 안에 위치한 메쉬 원단의 진한 색상이 겉으로 은은하게 중첩되어 나타난다. 스커트의 중첩은 부풀림의 정도가 약한 크리놀린 실루엣을 이루어 비치는 망사 매쉬 소재와 함께 여성의 이미지를 나타내고자 하였으며, 동시에 매쉬 소재 중에서도 뻣뻣하고 힘이 있는 소재를 사용하여 강인한 인상을 표현하고자 하였다<Fig. 38>.

<Fig. 38>

knitting process for overlaying

스커트에도 양면성을 표현하였는데 스커트의 러플은 실제로 2개의 층으로 러플이 중첩된 것이지만 재단기법을 활용하여 육안으로 보기에 총 4개의 서로 다른 길이의 러플이 중첩된 것처럼 보이도록 제작하였다. 반복되는 직사각형들은 리듬감과 율동감이 느껴지도록 배치하여 그 특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스커트에는 러플을 반복 중첩하여 반복성을 표현하였다.

4) Design 4

디자인 4는 투명성, 반복성, 집합성의 중첩 특성을 활용한 디자인이다. 투명성은 의상에 전체적으로 나타나도록 제작하였다<Fig. 39>. 기본적인 롱 니트 원피스를 작업하여 투명한 바디를 나타내었다<Fig. 40>. 집합성은 상의에서는 투명한 사각형의 조각들을 중첩시켜 나타냈는데, 가장 밑에 위치한 조각은 흰색, 중간에는 반투명 흰색, 가장 위에 위치한 조각은 검정색 PVC 소재로, 고정되는 가죽 소재의 바탕이 어두운 브라운 계열의 색인 것을 고려하여 서로 중첩되는 부분의 색이 잘 나타나도록 조각들을 배치하여 표현하였다<Fig. 41>. 사각 조각들을 고정시키는 실은 매듭지어지는 형태에 흐트러짐이 없는 면사를 사용하여 사각형들의 중첩 구성을 좀 더 깔끔하게 돋보이도록 하였다.

<Fig. 39>

Design 4 & flat drawing

<Fig. 40>

knit one-piece

<Fig. 41>

overlaying of transparent pieces

스커트는 망사 매쉬 소재를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셔링스커트와 플리츠스커트가 중첩되어 입혀지는 과정을 연출하여 반복성을 표현하였다. 스커트에 나타나는 투명성은 서로 다른 색상의 투명한 메쉬 소재를 중첩하여 여러 가지의 색상이 동시에 겹쳐져 나타나도록 하였으며, 가장 윗부분에 투명한 메쉬 원단을 배치하여 안에 겹쳐진 불투명한 플리츠 소재가 동시에 중첩되어 나타나도록 하였다. 아이보리 색상의 플리츠스커트는 2cm의 간격으로, 조금 더 진한 색상은 1.5cm의 간격으로 플리츠를 반복 중첩시켜 연속성이 느껴지도록 하였으며, 같은 기법의 플리츠 스커트를 좌, 우 양쪽에 따로 반복 배치하여 중첩 효과를 높였다<Fig. 42>.

<Fig. 42>

overlaying of skirt


Ⅳ. Conclusion

본 연구는 중첩 관련 선행 연구를 토대로 중첩의 특성을 도출하고, 이러한 자료를 바탕으로 중첩 이미지를 활용한 니트 패션 디자인을 제작하여 다양하고 창의적인 패션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한 방법으로 중첩을 활용한 문헌자료들을 중심으로 중첩의 개념을 정리하고, 중첩 관련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중첩의 특성을 종합 분석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종합되어 나타난 중첩의 특성은 투명성, 양면성, 반복성, 집단성 등으로 분류할 수 있었다.

이러한 특성들을 바탕으로 중첩을 활용한 현대 패션디자인의 특성 및 기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첩의 투명성은 투명 및 반투명한 원단과 부자재의 중첩, 투명 및 반투명한 원단과 투명한 부자재의 배치, 내부의 의상이 중첩되어 나타나게 하는 기법, 투명한 원단 자체에 여러 그림 패턴을 중첩하는 기법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첩의 양면성은 제거된 부분에 대한 존재 여부의 복수성을 가지고 있는 여러 조각 혹은 원단들의 중첩, 트롱프뢰유 기법, 그림 및 사진 패턴무늬를 이용한 중첩, 포토몽타주 기법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첩의 반복성은 플리츠나 턱, 러플 등의 반복과 그림 패턴의 반복배치, 그리고 포토몽타주 기법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첩의 집합성은 ‘반복구성에 의한 집합성’의 경우 서로 같은 부자재 및 그림패턴의 모양과 색상, 크기의 단위들이 규칙 혹은 불규칙적으로 집합 배치되어 나타났고, ‘규칙 없이 통일성을 가지는 집합성’은 서로 다른 부자재 및 그림패턴의 모양과 색상, 크기의 단위들이 불규칙적으로 집합 배치되어 나타났다.

이러한 내용을 바탕으로 중첩의 특성을 활용한 여성 니트 패션 디자인 작품을 전개, 제작하였으며, 작품 제작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니트와 사각형의 활용은 작품을 제작하는데 있어서 적절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사각형의 사용은 전체적으로 매우 딱딱하고 경직된 느낌을 줄 수 있는데, 딱딱하고 각이 진 특성의 사각형이 부드럽고 유연한 특성을 지닌 니트와 함께 결합하면서 완강하면서도 부드러운 이미지와 남성적이면서도 여성적인 이미지의 서로 상반되는 이미지가 함께 표현되어 기존의 각 특성을 넘어선 새로운 이미지로 작용하였다고 사료된다. 둘째, 중첩의 표현기법 활용에 있어서, 현대 패션에 나타난 중첩의 표현기법 외에 스킬 자수기법을 이용하여 중첩의 집합성을 표현하기에 적절하였으며, 재단 기법을 활용하여 중첩의 양면성을 표현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중첩의 특성과 표현기법을 활용한 니트 패션디자인 작품 개발에 있어서 다양하고 창의적인 니트 패션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였고, 후속연구에 있어서는 본 연구에서 활용되지 못한 중첩의 표현기법들과 함께 좀 더 폭 넓은 니트 패션디자인이 확장되어 발전하기를 기대한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석사학위논문의 일부임

References

<Fig. 1>

<Fig. 1>
overlapping

<Fig. 2>

<Fig. 2>
the four rules of arithmetic arrangement from Asakura Naomi (1999)

<Fig. 3>

<Fig. 3>
Lyubov Popova (1917), Painterly Architectonics from moma.org

<Fig. 4>

<Fig. 4>
Georges Braque (1908) Houses at L'Estaque' from news.kmib.co.kr

<Fig. 5>

<Fig. 5>
Carnovsky (2011), Jungla n.1 from carnovsky.com

<Fig. 6>

<Fig. 6>
Brno Del Zou (2012), Autoportrait from fotofeverartfair.com

<Fig. 7>

<Fig. 7>
Pep Ventosa, Carousel de la Tour Eiffel from www.pepventosa.com

<Fig. 8>

<Fig. 8>
Hannah Hoch (1935), Fashion Show from https://www.theguardian.com Laura Cumming,(2014)

<Fig. 9>

<Fig. 9>
Marina City from a-tour.net

<Fig. 10>

<Fig. 10>
Uihwa Building from h2nl.tistory.com

<Fig. 11>

<Fig. 11>
Patrick Jouin (2006), One Shot from deco-design.fr-bb.com

<Fig. 12>

<Fig. 12>
Gabriel Dawe (2013), plexus no.24 from gabrieldawe.com

<Fig. 13>

<Fig. 13>
Viktor & Rolf 2016 FW from vogue.com n.d.

<Fig. 14>

<Fig. 14>
Viktor & Rolf 2016 FW from vogue.com n.d.

<Fig. 15>

<Fig. 15>
Viktor & Rolf 2014 FW from vogue.com n.d.

<Fig. 16>

<Fig. 16>
Givenchy 2016 SS from vogue.com n.d.

<Fig. 17>

<Fig. 17>
Viktor & Rolf 2016 SS from vogue.com n.d.

<Fig. 18>

<Fig. 18>
Dior 2013 SS from vogue.com n.d.

<Fig. 19>

<Fig. 19>
Viktor & Rolf 2016 SS from vogue.com n.d.

<Fig. 20>

<Fig. 20>
Givenchy 2014 SS from vogue.com n.d.

<Fig. 21>

<Fig. 21>
Dior 2014 SS from vogue.com n.d.

<Fig. 22>

<Fig. 22>
Viktor & Rolf 2014 SS from vogue.com n.d.

<Fig. 23>

<Fig. 23>
Viktor & Rolf 2012 SS from vogue.com n.d.

<Fig. 24>

<Fig. 24>
Givenchy 2013 SS from vogue.com n.d.

<Fig. 25>

<Fig. 25>
Givenchy 2015 FW from vogue.com n.d.

<Fig. 26>

<Fig. 26>
Viktor & Rolf 2014 FW from vogue.com n.d.

<Fig. 27>

<Fig. 27>
Dior 2014 SS from vogue.com n.d.

<Fig. 28>

<Fig. 28>
Viktor & Rolf 2016 FW from vogue.com n.d.

<Fig. 29>

<Fig. 29>
Design 1 & flat drawing

<Fig. 30>

<Fig. 30>
Square module, crochet knitting

<Fig. 31>

<Fig. 31>
Square module vest making

<Fig. 32>

<Fig. 32>
Design 2 & flat drawing

<Fig. 33>

<Fig. 33>
one-piece knitting

<Fig. 35>

<Fig. 35>
neckline knitting

<Fig. 34>

<Fig. 34>
The overlaying of a piece of leather

<Fig. 36>

<Fig. 36>
hat making

<Fig. 37>

<Fig. 37>
Design 3 & flat drawing

<Fig. 38>

<Fig. 38>
knitting process for overlaying

<Fig. 39>

<Fig. 39>
Design 4 & flat drawing

<Fig. 40>

<Fig. 40>
knit one-piece

<Fig. 41>

<Fig. 41>
overlaying of transparent pieces

<Fig. 42>

<Fig. 42>
overlaying of skirt

<Table 1>

Characteristics of overlapping in fashion design study

author subject Expression Characteristics
Choi(2015) Fashion Design
Development Process Using
Transparency of
Superimposition
• opaque overlay
• transparent penetration
• togetherness
• continuity
• dynamism
• sense of space
• transparency
• homo spatial
• perception
• ambivalence
• tension
Lim & Kim(2013) Types of Overlapping
Technique in Contemporary
Fashion
• overlay
• repetition
• penetration
• transparent
-
Jin(2009) Superimposition of Russian
Constructivist Architectural
Spaces Reflected in Modern
Fashion Design
• collage
• mutual penetration
• transparent overlay
• repetition of a geometric cube
• sense of space
• rhythmical sense
• dynamism
• transparency
• duplicity
Kim(2007) Aesthetic Characteristics of
Overlapping Effect in
Modern Fashion
• collective expression for emphasis
• repetition of ornamental expression
• repetition of playful expression
• phenomenological transparency by overlapping materials
• transparency by color overlay
• continuation of a directional character
• continuity of dynamic characters
• repetitiveness
• transparency
• continuance
Kim, Im & Jang(2006)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of Modern Fashion Applied
Superimposition
• overlapping of clothing type
• overlapping the human body with the virtual body
• overlapping of human body and clothing
• togetherness
• ambivalence
• sense of space
• tension

<Table 2>

Production plan

development characteristics of
overlapping
item material color style
design 1 transparency
collectivity
Hood vest
One-piece
crochet knitting
& yarn
leather
mesh
design 2 transparency
duplicity
repetition
collectivity
T-shirt
One-piece
knitting
& yarn
leather
design 3 transparency
duplicity
repetition
Pullover
Skirt
knitting
& yarn
suede
mesh
design 4 transparency
repetition
collectivity
Jacket
One-piece
Skirt
knitting
& yarn
PVC
suede
mesh